4일 경기 이천시 호법면 안평3리 이천 광역자원회수시설(소각장) 건설현장. 영동고속도로 지하통로를 빠져나가니 거대한 모습이 사뭇 압도적이다. 하루 300톤 처리규모로 소각로 높이만 9층(30m) 규모고 굴뚝은 국내 최고 수준인 153m에 달한다.
눈이 흩뿌리는 쌀쌀한 날씨인데도 주민복지시설 등에 대한 마무리 작업이 한창이다. 소각장 가동 상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중앙처리실에서는 관계자들이 시스템 설치 작업을 벌이고 있고 소각로와 반응탑 주위에서도 막바지 정리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이천 여주 광주 하남 양평 등 동부권 5개 시ㆍ군의 생활쓰레기를 공동으로 처리하는 광역 소각장이 이 달 말부터 시험가동에 들어간다. 본격 가동은 6월부터지만 주요 소각시설은 이미 완성 단계여서 부분별로 점검에 들어간 곳도 있다.
5개 시ㆍ군이 최초로 합의해 유치한 이 소각장이 시험가동에 들어가면서 벌써부터 지자체의 견학 문의가 줄을 잇고 있다. 그만큼 이 소각장은 지역이기주의를 극복한 모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이천시 자원관리과 박철희 팀장은 “준비에서 착공까지 1년8개월이 걸리는 동안 80여 차례의 공청회ㆍ간담회와 14개 읍면동 순회홍보, 17차례 선진지역 견학이 이뤄졌다”면서 “소각장이 안전하다는 것과 주민지원사업의 매력을 확인한 주민들이 나중에 유치 경쟁에 나서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 곳의 복지시설 규모는 놀라웠다. 50x25m 국제규격의 수영장과 인조잔디 축구장, 테니스장, 헬스장, 농구장, 인라인 트랙, 사우나 등 유명 스포츠센터가 부럽지 않은 규모다.
또 이 시설이 입지한 안평3리에는 130억원을 들여 화훼시설과 난방시설을 제공하고 호법면 주변마을에는 1,200억원을 들여 도로와 상수도를 지원하게 된다.
소각장이 광역화하면서 생기는 이점도 적지 않다. 이천시 검토에 따르면 960억원이 투입된 이 소각장을 5개로 쪼개 지을 경우 토지, 설비, 운영비(20년) 포함 2,000억원이 추가된다. 규모를 키워 국가자원을 절반이상 절약한 셈이다. 또 폐열로 전기와 난방을 판매해 연간 운영비 45억원의 62%인 28억원을 자체 충당할 수 있다.
하지만 아쉬운 점도 있다. 법으로 정한 직접지원비 외에 국비지원이 안돼 인접 마을 지원비는 경기도와 이천이 지방채 발행을 통해 근근히 마련되고 있다. 또 영동고속도로 지하 진입로 확장이 안돼 진입차량들이 2년 정도 교차통행해야하는 불편이 예상된다.
글ㆍ사진 이범구 기자 goguma@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