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태 지음 / 후마니타스 발행ㆍ326쪽ㆍ1만5,000원
우리 사회는 이미 다민족국가 대열에 들어섰다. 이른바 3D 업종에 종사하는 근로자 태반은 외국인 노동자다. 한국인 어머니와 아시아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코시안’ 가정을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성공회대 박경태 교수가 쓴 <소수자와 한국사회> 는 우리 사회 인종적ㆍ민족적ㆍ계급적 소수자의 현실을 이주노동자, 화교, 혼혈인을 통해 보여주면서 이들의 눈을 통해 한국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소수자와>
이 책에서 저자는 소수자를 ‘신체적 또는 문화적 특징 때문에 사회의 다른 성원에게 차별을 받으며, 차별 받는 집단에 속해 있다는 의식을 가진 사람들’로 정의한다. 소수자는 영구성, 특수성, 대체 불가능성이라는 점에서 사회적 약자와 구분된다.
몸이 불편한 환자는 사회적 약자지만 병이 나으면 정상인이라는 점에서 소수자인 ‘장애인’과 다르다. 가난은 누구나 겪을 수 있지만 남성이 여성이라는 소수자의 특성을 가질 수 없고, 아무리 부와 명성을 가졌다 하더라도 흑인이라는 소수자로서 특성을 지우지는 못한다.
이런 관점에서 이주 노동자와 화교, 혼혈인은 하는 일과 피부색, 인종 때문에 소수자가 되며 보장돼야 할 인권은 유보된다. 이들을 보는 우리의 시선, 즉 ‘차이’가 ‘차별’을 정당화하는 그 시선이 바로 우리 사회의 인권 수준을 보여 주는 리트머스 용지가 된다.
저자는 인종적ㆍ민족적 소수자에 대한 차별의 기원으로 근대국가 형성기를 꼽고 국가는 의도적으로 이 차이를 과장하고 차별을 지휘해왔다고 지적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제 강점기에 민족은 조선이라는 국가의 공백을 메우는 ‘신화적 실체’였고 분단과 독재, 자본주의적 경제 발전을 위한 동원 체제에서 민족은 빈부 차로 인한 내적 이질감을 감추고자 신화성이 더욱 강화됐다. 이 과정에서 비민족, 비국민, 또는 반(半)민족인 화교, 혼혈인, 이주노동자 등은 열외일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별 속에서도 이들이 한국의 구성원이라는 점은 변하지 않는 현실이다. 2007년 8월 유엔 인종차별철폐위원회는 우리나라가 더 이상 단일민족 국가를 고집해서는 안 된다고 권고했다.
저자는 수년 동안 인권단체와 언론 등의 노력으로 우리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넘어가야 한다는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긴 했지만 여전히 부족한 것이 현실이라고 꼬집는다.
그는 “진정한 다문화 사회는 국가의 공식 입장이나 일방적인 선언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서구나 백인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것을 멈추고 우리의 눈으로 보고 그들의 목소리로 배워 우리가 변하는 것이 진정한 다문화”라고 말한다.
이대혁 기자 selected@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