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부 출범과 함께 주식시장도 ‘새로운 5년’에 접어들었다. 주가가 단순히 대통령이 누구냐에 따라 오르내리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정부 정책이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것은 틀림없다는 점에서 새정부 출범은 주식시장에도 적지않은 의미를 갖는다. “올해 안 주가 3,000, 임기내 5,000”을 공언한 새 대통령의 예언은 과연 현실이 될까. 주식시장의 입장에서 본 지난 5년과 앞으로의 5년을 정리해 보자.
주가로는 최대 호황이었던 참여정부
노무현 대통령 취임일인 2003년2월25일부터 이달 22일까지 종합주가지수(코스피)는 616.29에서 1,686.45로 무려 173.65% 급등했다. 1988년 5년 단임제가 시작된 이래, 노태우 전 대통령 집권기의 지수 상승률은 2.44%에 불과했고, 집권 말기에 외환위기가 터진 김영삼 전 대통령 재임중에0는 지수가 오히려 19.61% 떨어졌다. 김대중 전 대통령 집권기 주식시장은 국가부도 사태라는 바닥을 찍고 출발했지만 5년 동안 13.94% 상승하는데 그쳤다.
출범 첫해 평균 40% 넘는 주가 상승률을 보이다 집권 후반기로 갈수록 상승률이 급격히 둔화된 역대 정권과 달리, 집권 기간 내내 꾸준한 상승세를 보인 노무현 정부의 주가 흐름은 사실 전세계적 저금리 기조와 경기회복세에 힘입은 바 크다. 여기에 역대 정권과 달리, 집권 초반기 무리한 경기부양책을 쓰지 않은 점도 증시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특히 지난해 본격화된 강력한 부동산 관련 세제 정책은 시중 부동자금을 대거 주식시장으로 끌어와 ‘저축에서 투자의 시대’로의 자산 패러다임 전환을 불러왔다.
5년간 모든 업종이 올랐지만 800% 넘게 오른 기계와 11% 상승에 그친 통신 업종에서 보듯 희비가 엇갈렸다. 그룹별로도 현대중공업그룹의 시가총액은 무려 20배 넘게 급증한 반면, 삼성은 127% 대 증가에 그쳤다. 5대 그룹(삼성 LG SK 현대차 롯데)의 시가총액(약 311조원) 비중(33.01%)은 5년 전에 비해 6.74%포인트 감소해 대기업 집중현상은 다소 완화됐다.
이명박 정부, 주가 5,000 갈까
이명박 신임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직전, “주가 저평가 원인은 정권”이라며 “경제가 제대로만 된다면 2008년 3,000포인트를 돌파할 수 있고, 임기 내 5,000포인트까지도 올라가는 것이 정상”이라고 호언했다. 하지만 당선 후 지금까지 주가는 글로벌 신용경색 및 경기둔화 우려로 오히려 9% 넘게 하락해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일단 증시 여건 개선에 대한 기대감은 높은 상태다. 전문가들은 역대 어느 정부보다 시장 친화적인 신정부의 자세가 증시에도 우호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데 대체로 의견을 같이하고 있다. 대우증권은 최근 ‘신정부 출범에 따른 주식시장 영향’이라는 보고서에서 “친 시장, 친 기업으로 대변되는 이명박 정부의 경제관은 비교적 명확하며 시간이 흐를수록 긍정적 효과는 가시화될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시장의 주가이익비율(PER) 상승 효과도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연기금과 펀드를 통한 유동성 증가도 호재로 여겨진다. 국내 펀드규모는 최근 330조원을 넘어서는 등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국민연금은 올해 최대 22조원을 증시에 투입할 계획이다. 기업연금도 연 11% 투자수익률을 가정할 때 2035년 2,000조원 규모로 급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주가지수 5,000도 산술적으로는 불가능하지 않다는 평가다. 최근 5년간 글로벌 증시의 대세상승기에서 개발도상국 주가가 100% 오를때 기업이익은 70%, PER은 30% 가량 상승했다. 역으로 계산하면 코스피가 5,000이 되려면 앞으로 5년 안에 기업이익이 현재보다 135%, 현재 11배 수준인 PER는 14.5배 수준까지 올라야 한다는 얘기.
하지만 여전히 향방을 가늠할 수 없는 세계 경제상황이 변수다. 미래에셋증권 이정호 리서치센터장은 “신정부의 친시장 정책 기대감에, 5년간 기업이익이 2배 정도 오르는 것은 어렵지 않아 3,000선은 무리한 수준이 아니지만 5,000은 산술적으로는 가능하나 세계경제 환경이 워낙 불확실해 장담하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김용식 기자 jawohl@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