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고물가 압박에 금리 인상과 추가적인 긴축 조치를 취해야 하는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 세계 각국이 신용경색 위기에 따른 경기침체를 타개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금리를 내리는 와중에 중국만이 유독 금리를 올려야 하는 처지가 됐다.
19일 발표된 1월 중국 소비자 물가 인상률 7.1%는 중국 당국에게 충격적인 수치이다. 지난해 8월부터 6% 이상의 물가 고공행진이 이어지자 라면 등 일부 생필품 가격과 공공요금을 동결하는 계획경제식 물가대책까지 동원했기 때문이다. 물론 1월 중ㆍ남부 폭설과 한파로 물류가 끊기는 바람에 채소 곡물 육류가격이 폭등하는 등 불가항력적인 요인도 있었다.
우려되는 점은 설 대목 물가와 한파 피해 상황이 본격 반영되는 2월 소비자 물가이다. 최소 1월 인상률을 상회할 것이라는 관측이 무성하다. 이에 따라 중국의 인플레이션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고개를 들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돼지고기 파동을 계기로 물가가 뛰자 중국 당국은 인플레이션이 단기적 현상이라고 주장했지만 정작 물가 인상의 기울기는 더욱 가팔라지고 있다. 막대한 무역흑자, 해외자본직접투자(FDI) 등으로 돈이 쌓여가는 상황에 중국이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당국이 꺼낼 카드는 금리 인상 등 추가적인 긴축 조치일 것으로 보인다. 스티븐 그린 상하이 스탠더드 차타드 은행 선임분석가 등은 “중국 인민은행이 머지 않아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금리인상은 내달 초 개최되는 중국전국인민대회(전인대ㆍ의회) 이전에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일부 관측통들은 올해 최소 두 차례의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점치고 있다. 금리 인상과 함께 은행지급준비율 인상, 은행대출 규제 등 각종 긴축 조치가 시행될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이런 전망은 중국 정부가 경제성장을 어느 정도 희생시키더라도 물가는 잡는 쪽으로 향후 경제 정책을 운용할 것임을 시사한다. 세계경제가 침체기에 접어든 상황에서 중국 기업의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각종 긴축 정책을 펼 경우 중국의 대외 수출 등은 위축될 것이 분명하다.
미국 만큼이나 중국 경제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한국 등에게 중국의 향후 긴축조치는 상당히 부정적 파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대중 수출 기업은 물론 중국 내수를 겨냥한 주중 한국 기업들은 올해 경영 환경 악화를 감수해야 할지도 모른다.
베이징=이영섭 특파원 young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