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지역 안배·여성 기용 다소 소홀 불구 중량감
이명박 정부와 5년 전 노무현 정부의 초대 내각 면면을 들여다보면 두 사람의 국정 철학과 스타일의 차이가 확연하게 드러난다. 세대 교체, 주류 교체 바람을 업고 당선된 노 대통령은 파격과 혁신을 지향했다. 이 당선인은 사회 안정을 원하는 국민 여망을 반영한 듯 실용과 경륜을 중시했다.
2002년 출범한 참여정부 1기 내각의 주축은 50대였다. 각료 19명의 평균 연령은 54.5살로, 국민의 정부 초대 내각 평균 연령(58살)보다 4살이나 확 젊어졌다.
19명 중 50대가 압도적으로 많은 15명이었고, 40대가 3명, 60대는 1명 뿐이었다. 이명박 정부의 첫 내각에선 60대가 약진했다. 사실상 내정된 장관 14명 중 60대 이상이 10명, 50대가 4명이다.
평균연령은 60.2살이다. 영남 출신들이 잘 나가는 것은 두 정부의 공통된 특징. 하지만 참여정부가 ‘지역 균형’ 모양새를 갖추기 위해 애쓴 반면, 새 정부는 이런 부분에 다소 무심한 듯 하다.
참여정부 때는 노 대통령 고향인 부산과 경남 출신이 4명, 대구ㆍ경북 출신이 3명이었다. 이어 호남은 4명, 서울ㆍ경기 3명, 충청 2명, 강원과 제주, 평양 출신이 1명 씩이었다.
새 정부에선 이 당선인의 고향(포항)인 대구ㆍ경북 출신이 3명, 부산ㆍ경남이 2명으로, 이들은 주로 기획재정부와 교육과학부, 법무부 등 핵심 부처에 배치됐다. 호남과 충청, 서울은 2명 씩이고 강원도와 북한 출신은 1명 씩이다.
참여정부 때는 지방대나 고졸 출신이 등용돼 ‘학력 파괴 내각’이라 불렸다. 서울대 출신이 11명으로 가장 많긴 했지만, 동아대 출신 2명과 경북대 출신 1명이 포함됐다. 대학을 나오지 않은 농고 출신과 갑종 출신도 각각 1명이었다.
이대 출신은 2명, 고려대 출신은 1명이었다. 새 정부에선 이 당선인의 모교인 고려대 출신과 박사학위 소지자 등 고학력자들이 대폭 늘었다. 서울대 출신은 6명이고, 고려대 출신은 3명, 연세대와 육사, 이화여대, 중앙대, 건국대 출신이 1명 씩이다. 14명 중 5명이 박사 학위를 받았다.
노 대통령은 강금실 전 법무장관 등 여성 장관을 4명 임명했다. 반면 이 당선인은 박은경 환경부장관 내정자만 선택, 여성 기용에 인색하다. 또 노 대통령이 행시 13회인 김진표
의원을 경제부총리로, 김두관 전 경남 남해군수를 행자부장관으로 임명한 것은 대표적 파격 인사 사례로 꼽힌다. 이 당선인은 대체로 교수와 전직 고위 관료 등 중량감 있는 검증된 인사를 중용했다.
최문선 기자 moonsu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