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1호 숭례문 소실이후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관내 목조문화재에 대한 긴급 화재점검과 예산을 확보하느라 뒤늦게 법석을 떨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부산한 움직임은 그동안 여러 차례 문화재 화재 사건이후 대응에 비춰볼 때 반짝 관심에 그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서울시는 오세훈 시장의 담화문 발표를 계기로 문화재 관리에 예산을 적극 투자할 방침이다. 그러나 상주인력 배치나 소방설비 확충 등 근본적인 대책은 전반적인 점검을 마친 후에 실시할 것이라고 밝혀 개선에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경북 안동시도 국내 최고(最古) 목조건물인 봉정사 극락전에 대해 소방시설 작동여부 등을 점검했다. 점검결과 소방시설 작동상태은 양호했으나 화재시 소방차 등의 접근에 시간이 걸려 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대전시도 소방본부,구청과 합동으로 보물 209호인 동춘당(대덕구 송촌동) 등 47개 목조건물의 특별점검을 실시에 들어갔다.
충남도는 13~15일 3일간 수덕사와 마곡사 등 도내 전통사찰 81곳과 유교유적, 전통가옥 등 도내 229개소 800여동의 목조문화재에 대한 화재예방 긴급점검을 실시, 소방설비 작동상태를 살피고 인화성 물질 등을 제거하기로 했다.
220점의 목조문화재 가운데 화재감지기 등 경보시설과 스프링클러 등이 설치된 곳이 한곳도 없는 전북도는 18일부터 긴급 안전점검을 실시, 주요 문화재부터 소화전을 서둘러 설치하고 문화재 관리인에 대한 화재 예방교육을 강화키로 했다.
경남도는 지사의 특별지시로 문화재 부서와 전기ㆍ가스공사 등이 합동으로 국가지정문화재 241점과 도지정문화재 715점 등에 대해 소방시설 유지관리 실태와 자율방화관리, 안전요원 상주여부 등에 대해 11일부터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문화재청이 방재대책수립 1순위로 꼽고 있는 해인사의 경우에는 2006년 소화전 공사를 완료했고 대장경판고에는 6억5,000만원을 들여 수막시설과 방수총을 설치키로 하고 문화재청에 사업설계승인 절차를 밟고 있다.
인천시도 전등사 등 화재취약지역의 목조문화재에 불이 났을 경우를 대비해 소방본부와 합동으로 합동소방훈련을 실시하는 등 특별방재대책 마련에 부산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자치단체들의 특별점검은 그러나 인화성 물질을 옮기거나 간단한 전기시설 이전, 관리실태 점검에 그칠 수 밖에 없다. 예산이 들어가는 부분은 국비지원을 받아야 하지만 문화재청의 소화전 설치 예산이 1년에 고작 10억원에 그치고 있다. 수막시설과 화재경보기 등 방재시스템 구축 예산은 자치단체 예산과 합해서 15억원에 불과해 1개 시설에 평균 4억~5억원의 설치비용이 들어가 1년에 3,4곳만 설치가 가능하다. 전체 124개소에 시스템을 갖추려면 30년은 넘어야 한다.
충남도 관계자는 “경미한 사항은 현장에서 즉각 시정조치를 취할 수 있지만 시설보완 등 예산이 소요되는 것은 시간이 필요하다”며 “자치단체의 재정상황을 감안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주=최수학shchoi@hk. 기자 @hk.co.kr대전=허택회 기자 thhe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