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내 한국 투자 기업들의 경영환경이 급격히 나빠져 무단 철수하는 곳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수출입은행의 '칭다오지역 투자기업 무단철수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금까지 중국 산둥성 칭다오시에 진출한 한0국 기업 중 206개 기업이 제대로 된 청산절차를 거치지 않고 무단 철수했다.
전체 진출기업(8,344개)의 2.5%에 달하는 수치. 시기별로는 2003년 21개 기업이 무단 철수한데 이어 2004년 25개, 2005년 30개, 2006년 43개 등 꾸준히 수가 증가하다 지난해 87개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무단 철수의 주된 원인은 중국 내 경영환경의 지속적인 악화다. 수출입은행은 "최근 중국 인건비는 매년 10~15% 가량 꾸준히 인상돼 저임금의 매력이 줄어들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올해부터는 야근, 잔업수당을 최저임금 계산에서 제외한다는 내용의 신노동법이 시행돼 기업들의 실질 인건비 부담이 지난해 보다 40% 넘게 증가하기도 했다.
또 중국 정부의 토지규제 역시 큰 부담이 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칭다오시에 있는 한 한국 기업은 3만㎡의 토지사용을 위해 1년에 30만위엔(3,900여만원)에 달하는 세금을 내고 있다.
2005년 7월 변동환율제 도입 이후 달러에 대한 인민폐 환율이 13%나 올라 수출비중이 높은 기업에 큰 부담이 되고 있고, 중국 정부의 가공무역 관련 각종 규제 도입으로 관련 업종이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
수출입은행 관계자는 "기업이 경영 악화로 청산을 하려 해도 중국 측이 일방적으로 세금을 소급적용하거나 청산절차가 오래 걸려 무단 철수라는 극단의 선택을 하는 업체가 생겨나고 있다"며 "중국의 각종 규제 조치에 대비, 구조조정이나 내수시장 개척 등의 노력으로 경영위기를 미연에 방지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최영윤 기자 daln6p@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