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형 건설업체들이 한반도 대운하 사업을 선점하기 위해 '짝짓기'에 들어갔다. 이달 초 10대 건설사들이 시공능력평가 1~5위권, 6~10위권으로 나뉘어 각각 컨소시엄 구성에 나선 데 이어, 20위권 내 주요 건설업체와 정보통신(IT)업계도 대운하 사업 참여를 위한 공동협의체 구성을 서두르고 있다.
상위 20위 내 건설업체 대부분이 한반도 대운하 사업 수주전에 뛰어듦에 따라 새 정부의 대운하 민자사업 추진이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 11~20위 건설업체 중 8개 업체가 한화건설을 주간사로 한 대운하 공동협의체를 구성키로 하고 25일 실무협의를 갖는다.
이 협의체에는 한화건설 외에 두산건설, 쌍용건설, 한진중공업, 코오롱건설, 경남기업, 계룡건설산업, 삼환기업이 참여한다. 국내 시공실적이 미미한 일본계 타이세이건설(11위)과 동부건설(18위)은 빠진다. 동부건설은 계열사인 동부익스프레스(물류), 동부엔지니어링(설계)과 함께 자체 사업성 검토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당초 11~20위권 건설사들은 1~5위 업체 모임인 현대건설 컨소시엄 및 6~10위의 SK건설 컨소시엄과는 별도의 협의체를 구성키로 했다.
하지만 SK건설 측이 자사 컨소시엄에 합류해줄 것을 요청하는 데다, 일부 건설사도 이를 희망하고 있어 최종 컨소시엄이 어떻게 구성될 지는 아직 미지수이다. 이들 업체는 실무협의를 통해 구체적인 컨소시엄 형태 및 사업내용을 조율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6~10위의 SK건설 컨소시엄은 최근 대운하 사업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합동사무실 개설과 사업성 검토 등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들어갔다. 토목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11~20위권 건설사들까지 SK건설 컨소시엄에 가세할 경우 5대 건설사 공동협의체보다 높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가장 먼저 단일 컨소시엄 구성을 추진해온 현대건설, 대우건설, GS건설, 삼성물산, 대림산업 '빅5' 업체들은 운하사업 공동 참여를 위한 '경부대운하 공동협의체'(가칭) 구성을 이미 마쳤다. 이들 기업은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공동사무실을 열고 각사 실무진이 참여한 가운데 구체적인 사업성 검토작업에 들어갔다.
아직 마땅한 '짝짓기'에 나서지 못하고 있는 중견ㆍ중소업체들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와 대형 건설사들에 '구애작전'을 펴는 한편, 지역 상공회의소를 중심으로 해당 지역을 통과하는 구간 사업에 대해 지역 건설업체의 참여를 의무화해달라고 요청하는 등 발걸음을 서두르고 있다.
건설산업전략연구소 김선덕 소장은 "인수위가 대운하 사업의 주도권이 민간에 있음을 확인해준 이후 건설업체들의 움직임이 분주해지고 있다"며 "국내에서 한 번도 시행되지 않았던 사업인 만큼 외형 중심의 컨소시엄 구성에 급급하기보다는 얼마나 세심히 사업성을 분석하느냐에 따라 사업 성패가 엇갈리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건설업계에 이어 정보기술(IT)업계도 대운하 사업과 관련된 IT 기반시설 수요가 충분하다는 판단에 따라 컨소시엄 구성에 나섰다.
통신공룡 KT를 비롯해 시스템통합(SI) 업체인 포스데이타, 삼성SDS, LG CNS, SK C&C 등 5개 IT업체들은 최근 경부 대운하 사업에 단일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키로 합의했다.
이들은 조만간 컨소시엄 구성 협약을 체결하는 한편, 대운하 사업에 유비쿼터스 첨단기술을 활용하는 내용의 사업제안서도 마련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 소장은 "사업비만 15조~20조원에 육박하는 매머드급 사업인 데다, 운하 건설 과정에서 파생될 것으로 보이는 인프라 및 부대사업권 등을 선점하기 위해 관련 업체들이 서둘러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있다"며 "건설사들이 제시하는 수익모델에 따라 유관 업체들의 잇단 사업 진출도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전태훤 기자 besam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