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태’를 계기로 한국 프로야구의 체질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절박한 위기감 속에서 각 구단들은 운영비 절감과 새로운 수익 창출을 통해 생존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야구계에서는 비단 구단 뿐만 아니라 차제에 프로야구를 총괄하는 한국야구위원회(KBO)도 조직을 슬림화하고 투명성을 제고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KBO의 운영 실태와 문제점, 개선안을 살펴본다.
불필요한 군살을 빼라
KBO는 사무직 직원 25명 외에도 산하에 6개의 위원회를 두고 있는 방대한 조직이다. 특히 일부 중복되는 위원들이 있지만 6개 위원회에 속한 인원은 80명에 육박한다. 물론 이중에는 프로야구의 경기 진행을 위해 필수적인 심판위원회와 기록위원회 위원들이 50명에 달한다.
그러나 구단들은 KBO 조직이 최근 몇 년간 지나치게 비대화했다고 비판하고 있다.특히 일부 위원들의 자리는 KBO 고위층과의 친분 관계에 따라 ‘위인설관(爲人設官)’을 했다는 주장이다.
A구단 단장은 “최근 8개 구단 단장 모임에서 팀별로 연간 평균 200억원에 달하는 적자를 단계적으로 100억원까지 줄여보자는 논의를 했다”며 “이를 위해선 구단과 선수 모두 허리띠를 졸라매야 하고 KBO도 동참해야 한다. 현재 방만한 경영을 하고 있는 KBO 조직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고 지적했다.
유리알 경영’을 해라
KBO는 형식적으로는 외부 회계법인을 통해 감사를 받는다. 지난해부터는 8개 구단 관리부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예산 심사를 받았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KBO의 경영이 더욱 투명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B구단 단장은 “프로야구 중계권을 구단에 귀속시키자는 구단들의 요구는 2가지 의미를 담고 있다”며 “궁극적으로 구단에 수익을 돌려준다는 차원도 있지만 KBO의 예산 사용을 견제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지금처럼 KBO가 구단들을 대표해 중계권료를 받더라도 일단 구단들에 일괄배분한 후 구단들이 KBO 예산을 심사, 그 규모에 맞게 회비를 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 단장은 “90년대 후반만 해도 중계권료가 50억원대에 불과했고, KBO도 그 범위 내에서 돈을 썼다. 지금은 중계권료가 2배 가까이 올랐는데 KBO 지출 역시 똑같이 증가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KBO는 구단들의 지원을 받아 운영하던 시절, 회비를 연체하는 등 부작용이 있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C구단 단장은 “그건 핑계에 불과하다. 과거 쌍방울이나 해태 등 일부 구단들이 어려웠던 시절에나 벌어졌던 일이다. 지금은 10대 그룹들이 야구단을 운영하는데 아무려면 회비를 연체하겠느냐”고 반박했다.
이승택 기자 lst@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