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합민주신당 김한길 의원이 6일 총선 불출마와 정계은퇴를 전격 선언함으로써 신당 내 쇄신 공방이 다시 불 붙을 조짐이다. 대선 참패 책임론을 애써 외면해온 신당에 김 의원의 용퇴는 인적 쇄신을 부르는 촉매제가 될 가능성이 높다.
김 의원은 열린우리당 원내대표를 지낸 3선의 중량급 정치인이다. 또 신당의 고전이 예상되는 18대 총선에서도 그의 지역구(서울 구로을)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라는 평가를 받아 왔다. 그는 차기 당 대표 후보로도 거론됐다. 이런 그의 퇴진이기에 상당한 파문이 뒤따를 전망이다.
그는 이날 정계은퇴를 선언하면서 “대선 참패 이후 아무도 책임 지는 사람이 없다는 지적이 매우 아프다”며 “이런 결정은 누군가에게 손가락을 가리키면서 할 일은 아니고 각자 고독한 결정을 해야 한다”고 다른 의원들을 우회적으로 압박했다.
사실 신당에서는 각종 책임론이 난무했지만 과거 정풍운동과 달리 공격 대상이 너무 분산돼 실효를 거두지 못하던 상태였다. 초선 의원들은 참여정부 총리와 장관, 우리당 의장과 원내대표, 국회의장 출신 등 10여명을 구체적인 퇴진 대상으로 거론했다. 그러자 일부 중진은 “초선도 자격이 없기는 마찬가지”라고 반박해 전방위 갈등이 빚어졌다. 386 그룹도 쇄신의 도마에 올라 제대로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김 의원의 결단으로 쇄신의 흐름이 다시 힘을 얻을 공산이 크다. 한 재선 의원은 이날 “단순히 중진만 압박할 게 아니라 당 정체성과 어긋났던 일부 의원, 우리당 혼란의 주역이었던 초선 의원들까지 모두 포함해 인적 쇄신을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첫 분수령은 7일 신당 중앙위원회가 될 전망이다. 이날 표 대결을 통해 새 지도부가 선출된다면 당 대표를 중심으로 쇄신안에 따른 개혁 공천이 이뤄질 여건은 일단 마련된다. 하지만 정대철 상임고문이 경선 실시와 공동대표 자리를 요구하고 있는 반면 반대 쪽에선 정 고문 퇴진 서명을 준비하고 있어 몸싸움 가능성이 점쳐지는 등 당이 더 큰 혼란에 휩싸일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정상원 기자 ornot@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