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현대경제연구원이 분석한 2008 트렌드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현대경제연구원이 분석한 2008 트렌드

입력
2007.12.25 14:57
0 0

한해를 마무리하는 시간. 과거를 반추하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지만, 미래를 내다보는 것처럼 중요한 일은 없을 것이다. 알고 대비해야 한다. 특히, 지금과 같은 격변기에는 더욱 그렇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5일 우리 사회에 최근 나타나고 있는 거시경제, 산업, 경영, 사회 분야의 움직임을 분석, 무자(戊子)년 새해에 예상되는 10대 트렌드(추세)를 내놓았다.

첫째 트렌드는 참여정부 내내 우리를 괴롭혔던 외화내빈(外華內貧) 현상의 지속이다. 우리 경제는 국민소득 2만달러 달성, 경제규모 세계 10위 등 빛 좋은 수식어가 많다.

하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투자 정체에 따른 성장잠재력 고갈, 비효율적 시스템에 따른 경제 조로(早老)화가 심각하다.

실제 ‘선진국의 선진국’으로 불리는 ‘아너스클럽(국민소득 3만달러 이상인 18개국)’과 우리나라와의 국민소득 격차는 1998년 2만415달러에서 2000년 1만6,641달러로 좁혀졌으나, 2004년엔 오히려 2만5,396달러로 확대됐다. 그만큼 신(新)성장산업 육성과 투자 활성화가 시급하다는 말이다.

둘째, 부동산 딜레마가 가속화할 우려가 있다. 참여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대책으로 얼어붙은 부동산 경기는 자칫 잘못하면 경착륙할 가능성이 높다.

미국발(發)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파문에 따른 신용경색과 대출금리 상승이 주택시장을 옥죄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성장 위주의 개발전략을 앞세운 이명박 정부의 등장으로 부동산 값이 어느 쪽으로 튈지 예단하기 어렵다. 재건축 완화 등 차기 정부의 주택시장 부양 기대와 과잉 유동성은 버블(거품)을 부추길 우려가 적지 않다는 설명이다. 부동산 시장이 칼날 위에 서 있는 셈이다.

셋째, 유가ㆍ금리ㆍ원화가치ㆍ물가 모두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신(新)4고(高)’가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 ‘100달러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는 유가에다, 은행권 돈 가뭄 현상으로 상승세가 쉽사리 꺾이지 않을 금리, 원자재와 공공서비스 가격 상승으로 당분간 오름세를 이어갈 물가 등이 가뜩이나 어려운 서민경제의 등살을 휘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

넷째, 성장으로의 정책 선회 가능성이다. 참여정부가 그간 분배 위주 정책에 초점을 맞췄다면, 최고경영자(CEO) 출신 대통령이 이끌 차기 정부는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성장 우선에 비중을 둘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원은 참여정부의 분배 정책이 성장잠재력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지적한다.

빈부격차의 척도인 소득 5분위배율이 현 정부 첫해인 2003년 7.23배에서 2006년 7.64배로 악화했고, 개인파산 신청건수도 2006년 12만3,000여건으로, 2002년(1만2,000여건)에 비해 10배 이상 급증했다는 것이다. 성장을 중시하는 새 정부의 등장은 일단 양극화 완화에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다섯째, 재계의 화두인 인수ㆍ합병(M&A)을 통한 신수종(新樹種) 사업투자 확산이다. M&A가 한 템포 빠른 사업확장을 위한 최적의 도구인 만큼, 기업들이 내년에는 보다 적극적으로 M&A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다.

신기술 개발을 위한 기업간 전략제휴 및 연구개발(R&D) 강화도 하나의 트렌드다. 특히, 30조원에 달하는 국내 M&A시장에서 누가 선봉에 서느냐에 따라 재계 판도가 달라진다는 점에서 내년엔 대우조선해양, 현대건설 등 ‘대어(大魚)’에 대한 관심이 높을 수밖에 없다.

이밖에 디자인, 패션, 컨설팅, 의료 등 지식서비스 산업이 국가의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도약할 것이며, 은행의 수익기반 약화와 자본시장통합법 실시로 금융산업의 구조조정이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아울러 ▲삼성 비자금 의혹 파문 등에 따른 기업의 사회적 책임 욕구 증대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되살아 난 새 남북경협 분위기 ▲외국인 노동자와 결혼이민자 증가에 따른 다문화시대의 갈등구조 부각도 내년 우리 사회의 화두로 꼽혔다.

박기수 기자 blessyou@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