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가니스탄에서 철군하는 동의ㆍ다산 부대 장병 195명이 오늘 귀국한다. 의료지원단인 동의부대는 파병 5년 10개월, 건설공병지원단 다산부대는 4년 10개월 만에 완전 철군하는 것이다.
미국이 주도한 대 테러 전쟁의 다국적군을 지원하는 임무를 어려운 여건을 무릅쓰고 수행한 연인원 2,131명 파병 장병의 헌신적 노고와 가족들의 인내를 치하한다. 아울러 임무 수행 중 희생된 윤장호 병장을 기리며 유족을 거듭 위로한다.
어수선한 대선 정국 속에 귀국하는 동의ㆍ다산 부대는 서울공항에서 가족과 군 관계자들만의 조촐한 환영을 받는다. 지금도 유엔 평화유지활동(PKO)과 다국적군에 참여한 장병이 7개 지역 2,300명에 이를 만큼 해외 파병이 상시적 상황이 된 영향도 있다.
그러나 올 여름 아프간 인질사태를 겪으며 고통스레 경험했듯, 파병의 당위성을 놓고 갈등과 대립을 되풀이하는 딜레마적 현실이 크게 작용한다. 동의ㆍ다산 부대 철군을 계기로 이 딜레마를 어떻게 풀 것인지 새삼 성찰할 필요가 있다.
해외 파병을 둘러싼 사회적 논란과 갈등은 아프간과 이라크 침공을 감행한 미국과 영국을 비롯해 참전국 모두가 겪고 있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고상한 명분과 이기적 국익의 괴리를 얼마나 진지하게 고민하는가에 있다.
그 차이가 갈등의 극복 내지 완화 여부를 가른다. 평화와 민주주의 확산 등 위선적 명분에 집착하는 사회일수록 극심한 국론 분열을 겪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우리사회는 당장 이라크 자이툰 부대의 파병 연장 여부를 연말까지 결정해야 한다. 그러나 평화와 재건 지원을 내세워 파병을 단행한 정부는 이제 한미 동맹을 유일한 명분으로 삼고 있다. 반면 파병 결정에 동참한 정동영 후보는 '미국 용병' 발언까지 덧붙여 철군을 공약했다.
이명박 후보는 '자원 전쟁' 시대의 국익을 앞세워 파병 연장을 다짐하고 있다. 각기 지지계층에 영합하는 게 급한 처지이지만, 단선적 접근으로는 딜레마를 극복할 수 없다. 찬반 여론보다 진지하게 고민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