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IT) 분야의 엘리트를 양성해온 한국정보통신대(ICU)가 설립 10년만에 한국과학기술원(KAIST)와 통합된다. 21일 열린 ICU 이사회에서 통합 결정이 내려져 내년 8월께 KAIST는 IT분야에서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급으로 탄생한다. 과학기술분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는 반면에 경쟁력이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ICU는 정보통신부가 1998년 IT 전문인재를 육성하겠다며 설립한 정보통신대학원대학에 뿌리를 두고 있다. 하지만 ICU는 KAIST처럼 특별법을 바탕으로 한 국립대가 아닌 사립대에 준하는 조건으로 설립됐다. 이 때문에 감사원과 국회는 정통부장관이 ICU의 이사장을 맡고 정통부가 매년 100억원을 지원하는 것이 법적 근거가 없다며 ICU를 정리하도록 정통부를 압박했다. 이에 따라 정통부는 내년도 ICU 예산을 전액 삭감하고 KAIST와의 통합안을 이사회에서 통과시킴으로써 사실상 두 손을 들었다.
학교규모를 키우려던 KAIST에게 ICU와의 통합은 희소식이다. KAIST는 현재의 전산학과와 전기전자공학부에 ICU를 합쳐 ‘IT컨버전스 대학’을 만들고 학장도 부총장으로 승격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학생수는 1,400여명에서 2,400여명으로, 교수정원은 90명에서 137명으로 크게 늘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와 비슷한 수준이 된다.
KAIST가 통합을 반기는 이유는 또 있다. 5,000억원에 달하는 ICU의 자산을 넘겨받게 되기 때문이다. ICU는 4,000억원에 달하는 부동산과 1,000억원의 발전기금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IT업계의 일각에서는 “ICU는 IT분야의 맞춤형 고급인력을 양성했는데 KAIST로 흡수되면 이 같은 경쟁력이 상실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구성원 간의 갈등의 소지도 있다. KAIST는 최근 테뉴어(정년) 교수심사에서 43%를 탈락시켰는데 ICU 교수들은 통합 시 6년간 교수 평가 유예를 요구하고 있다. 또 통합을 위해서는 KAIST 특별법을 개정하고 ICU 청산절차 등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찬반논란이 불거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대전=전성우 기자 swchu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