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지후보 바꾸셨습니까
국민 10명 중 4명은 BBK 연루 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가 본격화한 상황에서도 여전히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를 지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물론 한나라당 지지층의 조정 움직임 등 향후 변화를 예상할 수 있는 몇몇 단초도 드러났다.
이번 조사에서 이 후보는 39.4%의 지지를 얻어 선두를 고수했고, 무소속 후보인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는 18.6%로 뒤를 이었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의 지지도는 14.1%였다. 이어 창조한국당 문국현(6.9%), 민주노동당 권영길(2.7%), 민주당 이인제(1.1%) 후보 등의 순이었다. ‘모름ㆍ무등답’은 17.1%였다.
이번 조사는 검찰의 BBK 관련 수사가 아직은 여론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음을 보여 줬다. 11일 본보 조사에 비해 이 후보와 이 전 총재는 각각 1.4% 포인트, 2% 포인트 하락했고, 정 후보는 0.6% 포인트 상승했다. 부동층도 같은 기간 2.1% 포인트 늘었을 뿐이다. 이 후보는 호남권과 충청권을 제외한 모든 연령 지역 직업 등에서 1위를 달렸다.
최대 승부처인 수도권(서울 48.4%, 인천ㆍ경기 45.2%)에서의 우위도 계속됐다. 이 전 총재는 연고지인 충청권(26.8%)과 함께 대구ㆍ경북(29%)의 지지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정 후보에 대한 지지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충청권의 경우 증가폭(5.6% 포인트)이 컸다.
이처럼 외견상 지지율에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몇 가지 주목할 만한 대목은 있다. 우선 보수 진영의 본산격인 대구ㆍ경북의 경우 11일 조사와 비교해 이 후보는 8.6% 포인트(53.5%→44.9%) 떨어진 반면, 이 전 총재는 8.8% 포인트 상승했다. 이 후보의 지지율은 격전지 중 하나로 꼽히는 충청권에서도 5.1% 포인트 낮아졌다.
수도권과 여론주도층에서도 부동층 증가세가 눈에 띄었다. 서울은 3.9% 포인트(13.3%→17.2%), 인천ㆍ경기는 5.6% 포인트(10.3%→15.9%) 늘었고, 화이트칼라에서도 4.3% 포인트(12.4%→16.7%) 증가했다. 향후 변화의 가능성은 남아 있다는 분석이 가능한 대목이다.
지지 후보 변경 의향에서는 ‘계속 지지하겠다’(58.7%)는 답변이 ‘바꿀 수 있다’(38.7%)보다 훨씬 많았다. 후보 변경 가능성은 11일 조사와 비교할 때 50대와 충청권은 각각 15.6% 포인트, 7.5% 포인트 줄었고, 20대와 대구ㆍ경북은 각각 7.6% 포인트, 5% 포인트 증가했다.
당선 가능성은 이 후보(60.5%), 이 전 총재(11.8%), 정 후보(4.4%) 등의 순이었다. 이 전 총재 지지층은 이 후보(40.9%)와 이 전 총재(37.1%)의 당선 가능성을 비슷하게 보고 있었다.
양정대 기자 torch@hk.co.kr
■ 정동영·문국현, 누가 더 적당할까요
범여권 대선후보 적합도에서는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가 40%의 지지를 얻어 1위 자리를 고수했다.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가 19.9%, 민주당 이인제 후보가 8.7%로 뒤를 이었다. 하지만 ‘없다’거나 ‘모름ㆍ무응답’ 등 부동층도 31.4%나 됐다.
정 후보는 연령, 지역, 소득수준, 직업 등에 관계없이 거의 모든 계층에서 40% 안팎의 지지를 얻어 문 후보와 이 후보를 상당한 격차로 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호남권(63.5%)과 충청권(45.4%), 20대(45%), 학생층(48.2%)의 지지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반면 문 후보는 40대(24.6%)와 대재 이상(24.6%)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지지를 받았다. 창조한국당 지지층은 문 후보(81.5%)를 꼽는 의견이 압도적이었지만, 민주당 지지층에선 이 후보(25.6%)보다 정 후보(47.1%)에 대한 지지가 많아 대조를 보였다.
전체적으로는 지난 조사(11월 11일)와 비슷한 경향을 보인 가운데 부동층의 미세한 변화가 눈에 띈다. 정 후보 지지도가 4%포인트 낮아졌는데 부동층은 4.1%포인트 늘었다. 범여권 후보 단일화의 필요성을 지적하는 답변이 줄어든 것과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양정대 기자 torch@hk.co.kr
■ 어느 정당을 가장 지지하십니까
정당지지도에선 한나라당이 50%를 넘는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정당지지도는 한나라당 50.5%, 대통합민주신당 13.4%, 민주노동당 6.2%, 민주당 3.4%, 창조한국당 2.7%, 국민중심당 0.6% 순이었다. ‘없다’ 또는 ‘모른다’는 응답은 23.2%였다.
BBK사건의 주역 김경준씨의 귀국(16일) 및 이에 따른 검찰 수사에도 불구하고 정당지지도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11일 한국일보ㆍ미디어리서치 여론조사에서는 한나라당 48.8%, 신당 11.9%, 민노당 7.1% 순이었다.
한나라당의 고공행진은 10ㆍ4정상선언 이후 평화 대 반평화 구도, 삼성그룹 비자금 사건 이후 부패 대 반부패 구도를 정착시키기 위해 범여권이 노력했으나 별 소득이 없었음을 의미한다. 또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의 출마도 한나라당의 표를 크게 깎아 먹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전통적인 여당 지지자들이 결집하지 못하는 것은 최근 신당과 민주당의 합당이 무산되는 등 범여권의 지리멸렬한 행보도 원인으로 지적된다.
한나라당 지지율은 50대(57.2%), 대구ㆍ경북(65.4%), 화이트칼라(52.3%) 층에서 더욱 높았다. 신당의 경우 광주ㆍ전남ㆍ전북(42.3%), 농업ㆍ임업ㆍ어업(26.2%)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다.
김영화 기자 yaaho@hk.co.kr
■ 후보단일화, 해야할까요
범여권 후보 지지자들은 후보 단일화 필요성을 보수 진영 후보 지지자들보다 상대적으로 절실히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지도 1, 2위를 보수성향 후보들이 굳건히 지키고 있는 만큼 범 여권 지지자들은 단일화라도 해야 승산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는 반면 한나라당 지지자들은 굳이 후보 단일화를 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이길 수 있다고 생각한 때문으로 보인다.
‘정동영 문국현 이인제 후보가 단일화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40.4%가 ‘해야 한다’, 40.5%가 ‘그럴 필요 없다’고 대답했다. 그러나 지지 후보별로 보면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 지지자는 74.5%(반드시 해야 한다 44.7%)가 해야 한다고 대답했고, 필요 없다는 응답은 17%에 그쳤다.
민주당 이인제 후보 지지층에서도 응답 분포(72.7%_18.2%)는 비슷했다. 그러나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 지지층에서는 필요 없다(49.3%)는 응답이 해야 한다(46.4%)는 응답보다 많았는데 이는 11일 조사(해야 한다58.3%_필요 없다 30.5%) 때와 다른 결과다. 신당과 민주당의 통합논의 과정에서 나타난 난맥상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와 무소속 이회창 한나라당 전 총재의 단일화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41.1%가 ‘해야 한다’, 48.6%가 ‘그럴 필요 없다’고 대답했다. 이 후보 지지층에서 단일화가 필요하다는 응답(55.8%)이 비교적 많았고, 이 전 총재 지지자들(필요 없다 55.4%)은 후보 단일화에 소극적이었다.
신재연 기자 poet333@hk.co.kr
■ 범여권이 단일화하면 누구를 지지하실 건가요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는 범 여권 후보가 단일화되고 이회창 전 총재가 무소속으로 완주하더라도 큰 표차로 승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가 범 여권 후보로 나서 이 후보, 이 전 총재, 민노당 권영길 후보와 4자 대결을 벌일 경우 이 후보가 43.2%, 이 전 총재 21.9%, 정 후보 20.4%, 권 후보 4.4% 순이었다.
이 후보는 호남을 제외한 모든 지역, 모든 계층에서 다른 후보를 압도했다. 이 후보는 특히 서울(52.1%)ㆍ경기(48.5%), 40~50대(49%), 소득 300만원 이상(42.4~52.7%)의 여론주도층과 적극투표층(48.8%)에서 지지도가 높아 당선 전망을 밝게 했다. 호남에서는 정 후보와 이 후보가 각각 56.7%, 17.3%의 지지를 얻었다. 이 전 총재는 충청권(29.9%)과 대구ㆍ경북(30.8%)에서 상대적으로 지지도가 높았다.
정 후보는 상대적으로 개혁적인 20~30대에서도 이 후보, 이 전 총재에 이은 3위로 나타났다.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가 범 여권 후보로 나올 경우에도 전체 순위는 이 후보(43.5%), 이 전 총재(24.6%), 문 후보(15.8%), 권 후보(4.2%) 순으로 같았다. 다만 정 후보가 나올 때보다 문 후보 지지도가 4.6%포인트 떨어졌고, 이 전 총재는 소폭(2.7%포인트) 상승했다. 정 후보에게 56.7%의 지지를 보냈던 호남 표는 문 후보에게는 27.9%만 지지를 보내면서 상당수(24%포인트)가 부동층(모름ㆍ무응답)으로 돌아섰다. 통합신당 지지층은 문 후보가 범 여권 후보로 나올 경우 36.6%만이 그를 지지하겠다고 답했다.
신재연 기자 poet333@hk.co.kr
■ BBK 의혹 사실이어도 이명박 후보를 지지하겠습니까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 지지자 5명 중 3명(62.2%)은 검찰의 BBK 수사에서 이 후보의 주가조작 연루 사실이 밝혀져도 지지를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지지를 철회하겠다는 응답은 25.6%였다. 주가조작 가담은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는 심각한 사안이지만, 계속 지지 응답이 60%를 넘은 것은 일단 이 후보 지지 층의 ‘충성도’가 상당히 높음을 알게 한다.
이탈 층 가운데는 40%가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로 지지후보를 바꾸겠다고 해 BBK 사건으로 이 후보 지지도가 급락할 경우 이 전 총재가 최대 수혜자가 될 것이라는 일반의 예상을 벗어나지 않았다. 이는 보수 성향 유권자들이 여간해선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쪽으로 빠지지 않고 이 후보와 이 전 총재 사이를 왔다갔다하고 있다는 분석에 근거한다.
지지철회 응답은 20대(40.0%)와 대전ㆍ충남ㆍ충북(44.0%), 학생(46.5%)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30대(32.9%), 광주ㆍ전남ㆍ전북(33.3%)에서도 평균치를 상회했다. 특히 이 후보가 보수정당 후보임에도 불구하고 경제지도자 이미지로 외연을 확대한 것으로 평가 받는 20대와 학생층에서 이탈 조짐이 비교적 강한 것도 시선을 끈다.
반면 한나라당의 전통적 지지 층으로 분류되는 60세 이상(74.4%), 대구ㆍ경북(64.6%), 월소득 500만원 이상(71.4%)에서는 계속 지지 의사가 훨씬 많았다.
지지철회자 가운데 이 후보를 대체할 후보로 이 전 총재를 꼽는 응답이 40.6%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17.8%),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8.9%) 순이었다. 민주노동당 권영길 후보(3.0%)와 민주당 이인제 후보(3.0%)는 5% 미만에 그쳤다.
이 전 총재를 대체 후보로 삼겠다는 응답은 60세 이상(66.7%), 대전ㆍ충남ㆍ충북(54.5%), 월 소득 500만원 이상(66.7%)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다. 정동영 후보의 경우 30대(34.6%), 학생(30.0%), 문국현 후보의 경우 20대(16.7%)에서 비교적 강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영화기자 yaaho@hk.co.kr
■ 이명박 후보 BBK 연루시 지지율 변화 시뮬레이션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의 BBK 주가조작 사건 연루가 검찰수사에서 확인됐을 때를 가정한 각 후보의 지지율은 ‘이명박 29.3%, 이회창 22.7%, 정동영 15.9%’로 추정된다.
이번 여론조사의 전체 표본수가 1,000명이므로 지지율이 39.4%인 이 후보의 지지자는 394명이다. 이중 101명(25.6%)이 지지의사 철회를 밝혔으므로 이 후보 지지자는 294명으로 줄어든다. 따라서 지지율도 29.4%로 주저 앉게 된다. 여기에는 이 후보의 BBK 연루 확인 시 계속 지지여부를 결정하지 못했다고 답한 사람들(12.2%)의 표심은 반영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후보는 이들이 모두 지지철회 쪽으로 옮겨가는 최악의 경우 지지율이 24.5%까지 추락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지지 철회자 101명 가운데, 이 후보가 아니라면 다른 어느 후보를 지지하겠느냐는 질문에 이회창 전 총재를 꼽은 응답자가 40.6%(41명)였다. 이 전 총재(18.6%)는 원래 186명의 지지자가 있었는데 여기에 41명이 늘어나면 지지율은 18.6%에서 22.7%로 높아진다는 계산이 나온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이 후보쪽에서 이탈하는 18명을 합치면 지지율이 14.1%에서 15.9%로 소폭 상승한다.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도 이 후보쪽에서 빠지는 9명을 흡수해 지지율이 6.9%에서 7.8%로 올라가는 데 그친다. 결국 BBK 사건으로 이 후보의 지지 층이 이탈해도 득을 보는 사람은 같은 보수진영 후보인 이 전 총재이지 범 여권 후보들은 아니라는 게 다시 한번 증명된 셈이다.
김영화기자 yaaho@hk.co.kr
■ 이명박 후보의 BBK 주장 신뢰하십니까
국민 10명 중 6명은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BBK 주가 조작 사건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후보는 BBK사건과 본인은 전혀 관련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이를 신뢰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62.8%가 ‘신뢰하지 않는다’고 대답했다. 특히 30대(71.3%), 충청(74.2%)ㆍ호남(76.9%), 화이트칼라(67.8%)ㆍ학생(73.2%) 층에서 믿을 수 없다는 응답이 많았다. 한나라당이 강세인 50대(52.6%)와 대구ㆍ경북(60.7%), 소득 500만원 이상(60.9%) 층에서도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절반을 넘었다. 신뢰한다는 응답이 많은 계층은 단 한 군데도 없었다. BBK 사건과 관련한 최근 한나라당의 오락가락한 해명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무소속 이회창 전 총재,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 민주노동당 권영길 후보 지지자 가운데는 이 후보 해명을 믿을 수 없다는 응답이 85.5~96.3%에 달했다. 심지어 한나라당 지지층의 45.3%, 이 후보 지지자의 33%도 이 후보를 믿을 수 없다고 대답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후보 지지도에 큰 변화가 것은 BBK와 관련해 지지철회를 할 만큼 폭발적 사실이 아직 드러나지 않았고, 설령 이 후보가 BBK 사건과 관련 있다 하더라도 그를 제외하고는 마땅히 찍을 만한 다른 후보를 찾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신재연기자 poet333@hk.co.kr
■ 박근혜 전 대표는 어떻게 해야 될까요
BBK 수사에서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의 연루 사실이 확인되더라도 절반 가까운 유권자는 박근혜 전 대표에게 ‘중립’을 요구했다. 무소속 후보인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 측의 바람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조사 결과다.
박 전 대표가 ‘중립을 지켜야 한다’는 의견은 45.2%였고, ‘이 후보를 도와야 한다’는 의견은 22.7%였다. ‘한나라당을 탈당해 이회창 후보를 도와야 한다’는 답변은 16.5%에 그쳤다. ‘모름ㆍ무응답’은 15.6%였다.
박 전 대표에게 중립을 요구하는 의견은 대체로 범여권 지지 또는 개혁성향이 강한 20대(66.4%)와 호남권(60.6%), 학생층(75%)에서 많았다. 대통합민주신당 지지층(61.2%)도 마찬가지였다. 이 전 총재가 보수진영의 대안으로 부각될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는 것이다.
반면 보수 성향이 강한 60세 이상(30.6%), 이 후보 강세 지역인 서울(28.8%) 등에선 이 후보를 도와야 한다는 답변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한나라당 지지층은 이 후보 지지(34.9%) 의견과 중립 요구(36.4%)가 비슷했다. 이 전 총재를 도와야 한다는 의견은 충청권(23.7%)에서 두드러졌다.
검찰의 BBK 관련 수사의 발표 시기에 대해선 ‘가급적 빨리 다음달 초까지는 발표해야 한다’(63.9%)는 응답이 압도적이었다. ‘대선 투표일 전’과 ‘대선 이후’는 각각 16.1%, 10.5%였다. 대선 전에 진실을 알고 싶어하는 유권자가 80%에 달하는 것이다.
수사 결과를 가능한 빨리 발표하라는 응답자의 분포는 대체로 박 전 대표에게 중립을 요구하는 응답자의 분포와 비슷했다. 반면 대선 이후로 미루자는 답변은 한나라당 지지층(16.4%)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양정대기자 torch@hk.co.kr
■ 삼성특검법, 노대통령 거부권에 찬성 하시나요
삼성비자금에 대한 특별검사제법안에 대해 노무현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는 것에 대해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이 반대했다. 응답자 중 찬성의견은 ‘매우 찬성’ 7,7%, ‘대체로 찬성’ 19.2%로 26.9%에 머문 반면, 반대의견은 ‘대체로 반대’ 30.0%, ‘매우 반대’ 25.7% 등 55.7%에 달해 반대보다 배 이상 많았다.
정당별로 반대의견은 특검제 도입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민주노동당 지지층이 74.2%로 가장 높았고, 민주당 지지층이 44.1%로 가장 낮았다. 대통합민주신당과 한나라당 지지층은 각각 55.2%, 55.6%로 별다른 차이가 없어 눈길을 끌었다. 특히 신당의 경우 거부권 행사에 찬성하는 의견이 31.3%에 불과해 노 대통령에 대한 심리적 이반 현상을 극명하게 보여 줬다.
지역별로는 노 대통령의 출신 지역인 부산ㆍ울산ㆍ경남 지역(49.7%)을 제외한 전지역에서 50~60% 가량이 반대 의사를 보였고, 전통적 여당 텃밭인 광주ㆍ전남 (55.8%)도 반대 비율이 비교적 높았다. 대선후보 지지자 별로는 권영길(85.2%) 문국현(71.0%) 이회창(60.8%)정동영(52.5%) 이명박(49.5%) 순으로 반대층이 두터웠다.
이태희기자 goodnew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