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선거운동이 본격화하면서 각 후보측 재정 담당자들은 죽을 맛이다. 엄격해진 선거법, ‘차떼기’ 학습효과, 삼성 비자금 사건 등의 여파로 여의도 주변이 극심한 ‘돈 가뭄’에 시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후보들간에 부익부 빈익빈 현상도 심각하다.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측은 법정 선거비용 한도액(465억9,300만원)보다 적은 400억원 선에서 대선을 치를 생각이다. 이방호 사무총장은 “일부에서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이 없냐고 문의해 오지만 일체 받지 않는다”고 했다.
이 후보측은 우선 제2금융권으로부터 250억원을 대출 받았다. 이 돈은 선거 후에 비용을 보전받아 갚을 계획이다. 그리고 중앙선관위로부터 28일 지급받은 선거보조금 112억원이 있다.
특별당비도 거둘 예정이다. 당 대표는 1억원, 최고위원급은 5,000만원, 시ㆍ도당 위원장급은 3,000만원 등으로 할당했다. 이 후보에게도 특별당비를 내도록 했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측은 좀 더 어려운 상황이다. 선관위에서 116억원의 보조금을 받았지만, 은행권과 제2금융권으로부터 담보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아직까지 대출을 받지 못한 상태다.
중앙당 당직자들과 보좌진이 갹출을 하거나 일부 의원들이 대출을 받아 보태고 있는 게 전부다. 그나마 선거 보조금마저 며칠 새 거의 바닥이 났다. 일부를 각 지역 선대위에 내려보냈고, 나머지는 광고비 등으로 지출했기 때문이다. 선대위 총무본부 관계자는 “BBK 사건 등으로 분위기가 반전되지 않으면 자금 융통이 쉽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빅3’ 가운데선 무소속 이회창 후보측의 사정은 가장 열악하다. 이번 대선에 90억~100억원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무소속이라 후원금을 모을 수도 없고 보조금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 후보측은 일단 지인들로부터 30억원을 빌렸다. 앞으로도 차입금에 의존할 수밖에 없지만, 후보 소유의 토지와 아파트 등을 담보로 대출을 받는 방안도 고려중이다. 한 캠프 관계자는 “자금 사정이 여의치 않을 때는 가족들이 다 같이 노력하는 걸로 얘기가 됐다”고 말했다.
민주노동당 권영길 후보측은 10만명의 진성당원들이 내고 있는 특별당비가 큰 힘이 되고 있고,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측은 문 후보 본인의 보유 주식을 담보로 자금을 대출받았다. 민주당 이인제 후보측도 특별당비와 선거보조금 등이 가용 자금의 전부다.
정녹용기자 ltrees@hk.co.kr양정대기자 torc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