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대까지만 해도 동네 ‘헬스클럽’이라고 불리는 체력단련장에서는 러닝머신을 구경하기 어려웠다. 공원에는 체육복을 입은 몇몇 시민들이 운동을 했지만 대부분 줄넘기와 조깅 정도에 그쳤다.
하지만 2007년 한국의 생활체육 풍경은 크게 달라졌다. 한강 고수부지에는 인라인 스케이트와 수십 만원대를 호가하는 자전거 타기 열풍이 이어지고 있고 세련된 인테리어를 자랑하는 피트니스 센터에는 요가와 필라테스 배우기가 한창이다.
국가적 차원에서 생활체육의 저변도 두드러지게 확대됐다. 국민생활체육협의회가 2007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에는 109개 종목 5,000여개의 시ㆍ군ㆍ구 종목별연합회가 구성돼 9만 여개의 클럽에 300만명의 회원이 등록돼 있다.
웰빙 풍조를 탄 자연스런 생활체육의 확산이 참여정부의 ‘국민체육진흥 5개년 계획’과 맞물려 전국 방방곡곡에 참여형 스포츠의 열풍을 불러 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아직 선진국 수준을 따라잡기 위해서 한국 생활체육이 나아갈 길은 멀다. 가장 눈에 띄는 문제점은 공공 체육시설의 부족. 생활권 주변의 공공 체육시설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학교 체육시설의 개방률이 저조하다는 것도 더불어 지적되고 있는 문제점이다.
국체협측은 “학교 운동장에 우레탄과 야간 조명 시설을 설치해 주민들이 이용하게 만들고, 체육관 설립 비용도 지원하고 있다”면서 “1년에 지역 스포츠센터를 10개씩, 약 3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건립하는 것을 추진 중이다”고 생활 체육 시설 확산 노력을 설명했다.
생활 체육에 또 하나의 중요한 걸림돌은 학교 체육의 파행이다. 국체협의 한 관계자는 “체육 교과가 고교 2,3년생에게는 선택 과목이 됐다. 전체 학생의 30%미만이 체육을 선택하는 실정이다”며 일선 학교 체육 과목의 파행 운영이 생활체육 확산의 잠재 성장을 해친다고 지적했다.
이런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국체협은 일주일에 3회, 30분 이상씩 운동하는 ‘스포츠7330’ 캠페인을 바탕으로 ▲체육활동 동호인클럽 육성 지원 ▲세대별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의 보급 ▲체육지도자 양성 및 보급 등을 정부 정책적 차원에서 적극 추진하고 있다.
김기범 기자 kiki@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