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이 자기들이 정한 통합시한이던 19일까지 내년 4월 총선에서의 상호 이해관계 조정에 실패했다. 일주일을 끌어온 합당 논의가 지분 문제라는 암초에 부딪친 것이다.
양당 간 협상이 결렬된 데에는 지분 다툼과 함께 신당 내 정파들 사이의 전략적 판단의 차이가 자리잡고 있었다. 외견상 지분 문제가 결정적인 듯하지만 이면에는 대선 전략과 향후 정치 상황에 대한 판단에 적잖은 간극이 있었던 것이다. 사실상 신당 내부의 이견 때문에 합당 논의가 좌초 위기에 처한 셈이다.
양당은 그간 4자 회동에서 합의한 의결기구 동수 구성, 전당대회의 내년 6월 개최 등을 놓고 지루한 줄다리기를 벌여 왔다. 신당은 내부 이견을 해소할 목적으로 의결기구 구성 비율을 7(신당) 대 3(민주당)으로 조정하자고 제안했지만 흡수합당에 대한 우려가 컸던 민주당은 전대 시기를 앞당기는 정도에서만 타협이 가능하다고 맞섰다.
양당이 협상에 임하는 태도에는 확연한 차이가 있었다. 민주당은 4자 회동에서 이미 신당측으로부터 상당한 전리품을 챙겼던 만큼 급할 게 없었다. 합의정신 준수를 수차례 강조하는 것만으로 명분상의 우위를 지킬 수 있었고, 전대 시기 조정 가능성을 제시한 것만으로도 양보안을 제시했다는 선전이 가능했다.
대선에 대한 기대치가 신당보다 높지 않다는 점에서 크게 손해볼 것 없다는 계산도 있었다. 이는 신당으로부터 동일한 지분을 보장받지 못할 바에야 합당 문제를 대선 이후로 미루는 게 오히려 낫다는 판단으로 이어졌음직하다.
반면 신당은 범여권 단일대오 형성에 대한 필요와 요구가 훨씬 컸던 만큼 이를 위한 구체적인 경로와 전략적 판단에 대한 정파 간 이견이 상당했다.
정동영 후보가 4자 회동에서 지분 문제까지 합의한 데 대해 이른바 당권파는 적극 지지하고 나선 반면, 친노 진영과 재야파, 시민사회 진영 등 상대적으로 개혁성향이 강한 쪽의 반발이 컸던 게 단적인 예다. 반(反)한나라당 기치의 핵심을 어디에 둘 것인가를 놓고 극명한 노선 차이가 드러난 것이다.
정 후보 측은 민주당과의 합당으로 호남권 지지를 우선 규합하는 데 주력하자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반발 세력은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 측과의 연대를 통해 진보ㆍ개혁 색채를 강화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생각이 강했다.
신당 내부의 복잡한 기류는 민주당과의 협상이 일단 결렬된 후에도 서로 다른 반응으로 나타났다. 정 후보 측은 “여전히 가능성이 남아 있다”고 했지만 한 재야파 재선의원은 “민주당과의 무리한 합당 대신, 후보 단일화에 주력할 경우 문 후보와의 정책연합 가능성도 높아질 것”이라고 했다.
양정대 기자 torc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