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이 어제 당 대 당 통합과 후보 단일화 원칙에 합의했다. 당명은 '통합민주당', 정책노선은 '질 좋은 경제성장과 서민ㆍ중산층 보호를 병행 추진하는 중도개혁주의'다.
2003년 11월 참여정부의 주도세력이 정치개혁과 지역구도 타파를 명분으로 새천년민주당을 깨고 나가 열린우리당을 창당함으로써 범여권이 분열된 지 4년 만에 옛 모양을 복원한 셈이다.
그러나 돌고 돌아서 도로 민주당이라는 비아냥이 뼈아프다. 명분과 원칙보다는 참여정부에 쏠리는 비판과 응분의 책임을 회피하면서 대선 유ㆍ불리 계산에 따라 어지러운 이합집산을 거친 뒤 결국 옛 민주당으로 회귀한 셈이다. 통합민주당을 주도할 면면도 그 얼굴이 그 얼굴이어서 신선도도 떨어진다.
그럼에도 범여권의 통합과 후보 단일화에는 나름의 의미가 있다고 본다. 참여정부 실패에 대한 책임문제만 빼면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의 정책 및 노선 차이를 찾기 어렵다.
그런 두 당이 주도세력의 이해관계에 따라 갈라져 대선에 참가함으로써 혼란을 주는 것은 일반국민이나 지지자들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정책과 노선이 유사하다면 하나의 정치상품으로 선택과 심판을 구하는 것이 당연하다. 이회창씨 무소속 출마로 보-보 대결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는 대선구도에 변화를 꾀해야 하는 진보세력의 정치공학적 계산 이전의 문제다.
두 당의 통합은 후보 단일화 절차가 남아 있고 전당대회를 내년 총선 이후에 열기로 하는 등 '개문발차'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대선후보 등록까지의 촉박한 시일을 감안할 때 불가피한 수순일 수 있으나 내홍의 소지가 있는 것도 분명하다.
범여권의 또 한 갈래라 할 수 있는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측과의 후보단일화 문제도 숙제다. 개혁민주평화세력을 대표하는 정당으로서 반전의 계기 마련을 위해서는 말할 것도 없고 대선 견제세력으로서 최소한의 기반을 구축하려면 개인들의 이해관계를 초월한 후속 마무리가 필요하다.
염불보다는 잿밥이라는 식으로 내선 총선 공천권에 연연하거나 지나치게 호남 지역구도에 매인다면 대선은 물론 내년 총선에서도 실패할 수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