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담당자 찾는데만 사흘… 시민 불편 알겠더군요"
“해당 부서 담당자를 찾는 데에만 꼬박 사흘이 걸렸어요. 시민 불편을 몸소 체험했습니다.”
희망제작소 사회창안센터 이경희(29ㆍ여) 연구원은 6일 한국일보와 희망제작소 공동 기획 ‘이건 어때요? 시민의 아이디어가 세상을 바꾼다’에서 각 기관에 정책제안한 총 40여건의 아이디어를 정리하며 “아쉽지만 뿌듯한 순간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제안은 지난 7개월 동안 정부 부처, 지방자치단체, 기업 등에 던져졌다. 이 연구원은 “공공기관의 경우 정책제안과 응답이 비교적 신속하게 이뤄진 반면 민간기업은 해당부서와 연락하기조차 어려운 경우도 많았다”며 “공문을 보내도 한 달 넘게 감감무소식일 때 제일 답답했다”고 아쉬워 했다.
이 연구원은 가장 인상 깊은 아이디어로 ‘지하철 낮은 손잡이’ 도입을 꼽았다. 이 연구원은 “시민들의 아이디어가 연구원들의 기초조사 및 전문가 평가 등을 거쳐 현실화 되는 것을 보면 가슴이 벅차 오른다”며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했다.
■ "시민의 눈으로 보니 맞춤형 행정 잘보여"
“시각장애인 입장에서 식품 의약품 정보를 알 수 없다면 얼마나 답답할까요.”
행정자치부 제도혁신팀 이재엽(52) 팀장은 6일 한국일보와 희망제작소의 공동기획에서 제안된 시민 아이디어를 접하면서 “맞춤형 행정의 필요성을 절감했다”고 말했다. 이 팀장은 “식약품에 점자매뉴얼을 표기(본보 3월27일자)하는 것은 시각장애인에겐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라며 “행정가가 아닌 시민의 눈으로 정책을 보는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시민단체, 기업 등과의 공조도 맞춤형 행정 실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이 팀장은 희망제작소가 제안한 현금인출기 수수료 선(先)공지(본보 3월12일자) 아이디어에 대해 “각 은행이 수수료 정보를 교환하는 등 금융기관의 자발적 참여가 필요하기 때문에 금융감독원에 관계기관의 협조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 팀장은 국민제안제도 활성화도 약속했다. 그는 “56개 중앙 행정기관이 국민제안 아이디어 공모전을 활성화 할 수 있도록 적극 건의하고, 우수제안 포상도 확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박유민 인턴기자(이화여대 국문 4년)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