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의 대선출마 선언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이명박 후보와 이 전 총재의 향후 대결 양상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나라당을 같은 뿌리로 하지만 두 사람은 주요 지지기반과 스타일 등 여러 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물론 정권교체를 제일 가치로 삼는다거나, 성장 중심의 경제관을 갖고 있는 등의 공통점도 적지 않다.
■ 지지기반
이 후보와 이 전 총재는 주요 지지기반이 다르다. 지역적으로, 이 후보는 서울 등 수도권에서 지지가 높은 반면 이 전 총재는 충청권과 대구ㆍ경북에서 상대적으로 강세다.
지난달 31일 MBC-코리아리서치 여론조사에서 이 전 총재의 충청권 지지율은 31.6%로 이 후보(34.4%)와 거의 차이가 없다. 대구ㆍ경북에서도 35.1%로 전국 평균 22.4%보다 크게 높았다. 이는 박근혜 전 대표의 지지층이 상당부분 이 전 총재로 옮겨간 결과다. 또 이 전 총재가 충남 예산 출신이어서 충청권의 기대가 높은 편이다.
연령별로 본다면 이 후보가 20,30대 젊은 층에서 지지율이 높고 이 전 총재는 50대 이상 중장년층에서 지지가 많다. MBC-코리아리서치 조사에서 이 전 총재의 지지율은 50대 이상(23.9%)에서 20대(19%)와 30대(20.7%)보다 더 높았다.
이념적 성향에 따른 지지기반의 차이도 크다. 이 후보는 보수뿐 아니라 중도 성향 유권자들로부터도 상당한 지지를 받고 있지만 이 전 총재는 보수층, 특히 강경 보수층에서
지지가 높다는 게 정설이다. 실제 동아일보와 코리아리서치가 5일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 후보는 보수 성향 응답자에서 50.4%, 중도 성향 응답자에서 39.5%의 지지율을 얻었다.
반면 이 전 총재는 중도 성향의 지지는 15.4%에 불과했고, 보수 성향 응답자 가운데선 30%의 지지를 받았다.
■ 이념ㆍ정책
두 사람은 대북정책을 두고서 확연한 인식차이를 드러낸다. 이 후보는 ‘중도 마케팅’ 차원에서 대북 정책에서 비교적 전향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보수에서 한 클릭 가운데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이 후보는 대북 포용정책의 흐름 자체에 반대하지 않는다. 또 “집권하면 남북정상회담을 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이 전 총재는 대선 출마 명분 중 하나로 이 후보의 대북 정책과 안보의식의 문제점을 내세울 것으로 알려질 만큼 이 후보의 대북관에 비판적이다. 그는 7월 한나라당의 신대북정책에 대해 “햇볕정책 기조와 다를 바 없다”고 비판했다.
또 지난달 24일 한 보수단체 모임에서 “대한민국 정통성이 위협 받는데 정치권이 대선 표를 의식해 몸조심해서는 안 된다”며 이 후보를 겨냥하기도 했다. 또 남북정상회담을 강력히 비판하지 않는 이 후보에 대해 상당한 불신감을 표했다는 전언이다.
이런 인식차이는 곧 대선의 주요 아젠다 차이로도 이어질 수 있다. 이 후보는 정권교체와 함께 경제 제일주의를 주 모토로 하고 있다. 이 전 총재도 정권교체를 첫번째로 강조하지만, 안보 제일주의를 앞에 내세울 가능성이 있다.
경제관을 놓고 본다면 두 사람은 비슷하다. 이 후보는 매년 7% 경제성장, 법인세 인하, 기업 규제 철폐 등 성장 중시 전략을 갖고 있다. 이 전 총재도 2002년 대선 당시 6% 경제성장, 법인세 인하, 정부의 기업 간섭 종식 등 성장 위주 공약을 내걸었다. 성장과 복지의 균형측면에선 이 전 총재가 더 성장에 무게중심을 둔다는 시각도 있다.
■ 정치스타일
이 후보에게는 대기업 최고경영자(CEO)형 리더십이라는 수식어가 따라 다닌다. 일 처리에서도 실용과 성과를 중시한다. 반면 이 전 총재는 법관 출신답게 원칙을 중시하는 이미지를 갖고 있다. ‘대쪽’이미지도 여기서 나왔다.
이 후보는 다소 독선적이라는 지적이 있는가 하면 이 전 총재에게는 너무 완고하고 귀족적이라는 부정적 평가도 있다.
두 사람을 모두 아는 한 중진의원은 “이 전 총재는 과거 대선에서 김종필 전 총리(1997년)와 정몽준 의원(2002년)의 영입을 아래 사람들이 당시 지속적으로 건의했지만, 원칙에서 벗어난다며 하지 않았다”며 “그러나 이 후보는 자신에게 유리한 선택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파악해 행동에 옮기는 유연성이 있는 스타일”이라고 평했다.
정녹용 기자 ltree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