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가 멀다 하고 바뀌는 입시 정책 때문에 머리가 아파요. 2008학년도 대입 제도가 2007년 5월에 확정되는 게 말이 되나요.”
3일 서울 용산구 숙명여대 강당에서 열린 ‘나는 이런 대통령을 원한다’ 청소년 토론회는 중고생 200여명의 정책 제안 열기로 뜨겁게 달아올랐다. 서울 지역 10여개 고교 학생회 연합인 ‘미래’ 등이 연 이날 토론회는 자유 발언 형식으로 진행돼 청소년들이 각 당 대선 후보들에게 하고픈 말을 가감 없이 풀어놓는 자리가 됐다.
서울 D고 이모(17)군은 “학교가 성적에 따라 학생을 차별하는 등 청소년을 (인격체가 아니라) 제품으로 보는 것 같다. 이런 상황에서 청소년이 올바르게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느냐”며 입시 위주의 교육 현실을 개선해 줄 것을 요구해 큰 호응을 이끌어냈다.
서울 K고 최모(18)군은 “학생회가 학생보다 교장 선생님 말에 더 좌우되고 있다”며 “ ‘꼭두각시’에 불과한 학생회에 더 큰 힘을 실어줄 수 있는 제도를 만들어 달라”고 호소했다.
청소년들은 입시 등 교육 문제 해결을 주로 요청했지만, 빈부 격차 해결 등 ‘어른스러운’ 주문이 나오기도 했다. 경기 B고 홍모(16)군은 “한미자유무역협정(FTA)이 졸속이라는 소리를 들어가며 급하게 처리됐다는데, 잘 이해가 가지 않는다”며 “새로 대통령이 당선되면 재협상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일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가 서울 강서구 방화동 국제청소년센터에서 연 ‘청소년이 바라는 청소년정책’ 토론회에서도 ‘만 19세까지 주는 선거권을 18세로 낮춰 달라’ ‘교복이 너무 비싸니 특단의 대책을 세워 달라’ ‘대기업ㆍ관공서 등을 묶은 직업 체험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 달라’는 주문이 잇따랐다.
그러나 ‘표가 안 되는’ 탓인지 청소년들의 열기와 달리 정치권의 반응은 냉담했다. 두 토론회 주최측이 각 정당의 청소년정책 관계자들을 초청했지만 외면한 정당들이 많았다. 토론회에 참석한 정당 관계자들도 기존의 당 정책을 ‘재탕’ 하거나, ‘청소년을 배려해야 한다’는 원론 수준의 얘기만 되풀이해 청소년들의 힘을 뺐다.
한 정당 관계자는 차관급인 국가청소년위원회 위원장을 계속 ‘장관급’이라고 하고, 다른 정당 관계자는 “청소년 비만 문제를 해결해 달라”는 주문에 “갓난아이들이 두유를 먹고 자라면 비만아가 되는데 이런 점을 바로잡겠다”고 말해 실소를 자아내기도 했다.
경남 창원시 중앙여고 3학년 공새미(18)양은 “주요 정당의 청소년 정책 담당자라면서 청소년 정책에 대해 거의 모르는 데다 현실성 없는 대답도 많아 실망했다”고 말했다.
박원기 기자 one@hk.co.kr진실희 인턴기자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4년)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