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박래부 칼럼] 10인의 대표시를 읽으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박래부 칼럼] 10인의 대표시를 읽으며

입력
2007.10.23 00:02
0 0

시란 무엇인가. 수많은 정의 중에서 '시란 영혼의 음악이다. 보다 위대하고 다감한 영혼들의 음악이다'라는 사상가 볼테르의 말을 들어 본다.

그러면 시인은 어떤 사람인가. '시인이란 가슴에 심각한 고민을 품고 이것이냐 저것이냐를 천사만려하면서, 탄식과 흐느낌을 아름다운 노래처럼 부르는 입술을 가진 불행한 인간이다.' 염세적 철학자 키에르케고르다운 통찰이다.

11월 1일은 '시의 날'이다. 최남선의 신시 <해에게서 소년에게> 가 1908년 <소년> 지에 처음 발표된 날을 기념해 제정한 날이다. 올해 한국 현대시는 탄생 100년을 맞는다.

최근 한국시인협회가 특별한 '시의 날'을 앞두고 문학평론가 10명에게 의뢰해 10대 시인과 대표시를 선정한 것은 문학사적 의미가 작지 않다.

● 문학사적 의미 큰 선정작업

보도되었듯이 10대 시인과 대표시는 김소월 <진달래꽃> , 한용운 <님의 침묵> , 서정주 <동천> , 정지용 <유리창> , 백석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 김수영 <풀> , 김춘수 <꽃을 위한 서시> , 이상 <오감도> , 윤동주 <또다른 고향> , 박목월 <나그네> 로 결정되었다. 대체로 문학성을 중심으로 편견 없고 공정하게 선정한 결과라고 여겨진다.

시가 '위대한 영혼들의 음악'이라는 볼테르의 정의에 기대지 않더라도 선정된 시인에게 영예스러운 일이고, 각급학교의 시 교실에서도 기억되고 강의될 만한 작업이다.

특히 정지용의 <유리창> , 백석의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의 선정은 의미가 남다르다. 납북됐던 정지용과 고향인 북한에 머물던 백석은 6ㆍ25전쟁 후 30년 이상 우리 문학에서 증발해 버린 존재들이었기 때문이다. 냉전시대의 미아였던 이들의 시는 1987년 6월 민주항쟁이 승리함에 따라, 문학적 복권이 이뤄져 우리 곁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아이를 잃고 쓴 시로 알려진 정지용의 <유리창> 은 감정의 절제와 세련된 시어 등에서, 모더니즘 문학의 보석같은 결정체다. 이에 비해 1948년에 발표된 백석의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은 평안도 지방의 토속적 정서와 소박한 언어로 쓰여진 시다. 비교적 길고 산문체 문장에 의존하는 이 시는 그 시대 인간의 스산한 내면과, 그래도 포기할 수 없는 삶의 지향성이 아픈 공감을 불러낸다.

10인 중에 김소월 한용운 이상 윤동주 등 우리가 아껴온 시인들이 포함돼 있는 점은 새삼 기쁨을 준다. 풍찬노숙의 생활 속에 독립운동을 지도했거나, 일제에 의해 고난 받고 옥사도 한 시인의 탁월한 문학적 성취를 다시 한번 기리는 일이다.

그러나 10인의 면면을 자세히 보면, 우리 시문학사는 영광 못지않게 불명예와 질곡으로 얼룩져 왔음도 부인할 수 없다. 친일 문학작품을 남기고, 광복 후에는 정통성 없는 군부독재 세력에 영합하여 영달을 누린 이들도 있어 우리를 신산하게 한다.

소설의 경우는 이인직의 신소설 <혈의 누> 가 발표된 것이 1906년이고, 본격적 현대성을 갖춘 이광수의 장편소설 <무정>이 발표된 것이 1917년이다. 어느 작품을 기점으로 현대소설 100년과 대표소설가 10인을 정리할 것인가는 숙제이지만, 이 두 작가 역시 친일의 오점을 묻히고 있다.

그러나 또한 분명한 것은 질곡과 부조리의 역사 속에서 이들의 좋은 작품도 쓰여졌다는 사실이다. 대중의 순수한 믿음을 저버리고 문학에 대한 허무주의를 조장하는 이런 대목에서, 문학적 평가와 역사적 평가는 길이 나뉠 수밖에 없다.

● 문학ㆍ역사의 평가 다르기도

이번 대표시인 10인 선정에서 문학 외적 요소가 개입할 소지가 있기 때문에 생존 시인은 대상에서 제외됐다고 한다. 따라서 앞으로 20년, 혹은 30년 후에는 지금 생존하는 이들을 포함하여 다시 대표시인 10인을 선정해야 한다. 그런 때를 대비해서라도 시인, 혹은 지식인은 이름을 깨끗이 간직해야 한다. 이것이 대표시인 10인 선정에서 얻는 또 다른 교훈이다.

박래부 논설위원실장 parkrb@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