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노(親盧)세력이 대통합민주신당 경선 이후의 구도를 놓고 고심중이다. 1,2차 모바일투표 이후 당선권에서 멀어졌다는 자체 평가를 내리고서도 경선 완주에 총력을 기울인 건 유의미한 정치세력으로 재기하기 위한 준비의 성격이 짙다.
향후 정치행보를 놓고 친노진영 내에선 아직까지 의견 통일이 되지 못했다. 경선 결과를 전면 수용하자는 의견에서부터 독자세력화를 모색하자는 의견까지 다양하다. 최근 들어선 문국현 유한킴벌리 전 사장과의 연대론도 서서히 힘을 얻고 있다.
현재로선 신당의 후보를 중심으로 연말 대선에서 정권재창출을 위해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현실론자들이 많은 편이다. 한 친노의원은 “범여권이 분열하면 연말 대선과 내년 총선은 실패라는 데 이견이 없다”며 “이해찬 전 총리가 경선 결과에 대한 수용을 수차례 강조한 것도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정치적 명분을 거역하기 어려운 현역 의원들을 중심으로 이 같은 견해가 넓게 퍼져 있다. 신당의 한 고위당직자도 “15일 당선자대회에서 세 후보 진영의 공동 결의문 채택을 제안한 곳이 이 전 총리 캠프”라고 전했다.
하지만 친노진영의 주축이랄 수 있는 핵심 실무진의 분위기는 다르다. 이미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이나 손학규 전 경기지사를 간판으로 하는 신당에 대해선 미련이 없다는 얘기가 공공연히 나온다. 신당 외부의 기대주로 꼽히는 문 전 사장의 파괴력을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전 총리 캠프의 한 핵심인사는 “문 전 사장을 주목해야 한다는 사람들이 꽤 많다”고 전했다.
독자세력화에 대한 요구도 적지 않다. 특히 영남권 멤버들의 입장이 상당히 강경한 걸로 알려져 있다. 이 전 총리의 한 측근은 “참여정부평가포럼이라는 전국 조직이 이미 갖춰진 만큼 신당을 만드는 데 어려움이 없다”고 단언했다. 일각에선 ‘국민평화연대’를 추진중인 이수성 전 총리가 친노진영과 일정한 교감을 이루고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친노진영의 이 같은 혼선은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현실적으로 경선 이후를 끌고 나갈 대표선수가 없기 때문이다. 결국 친노진영의 최종 선택은 노무현 대통령의 의중에 좌우될 것이란 얘기가 나오는 것도 그래서다.
양정대 기자 torc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