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배출되는 이공계 박사학위자 수는 미국의 6분의 1, 미국에서 이공계 박사 학위를 취득한 이들의 절반은 현지 정착.'
국내 이공계 박사 양성의 척박한 현실이다. 세계적으로 고급 두뇌 확보 전쟁이 치열해지고 있지만, 정작 우리나라는 뒷걸음만 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3일 '두뇌 강국으로 가는 길' 보고서에서 국내 배출 이공계 박사학위자 수가 2002년 기준 2,774명으로 미국의 6분의 1, 일본의 2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인구 10만명 당으로 따지면 5.6명으로 미국(5.9명) 일본(4.4명)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절대적인 수에서 현저히 밀린다는 지적이다. 스웨덴(19.2명) 영국(10.8명) 독일(10.1명) 등은 우리나라의 2~3배에 달한다.
특히 바이오, 나노 등 미래 유망산업을 주도할 이학박사 배출 수는 미국의 7% 정도에 불과하다. 반면, 중국은 연간 공학박사 배출 수에서 아시아 최고였던 일본을 2000년 추월했고, 이학박사 배출에서도 1991년 우리나라, 94년 일본을 추월한 뒤 현재 인도를 맹렬히 추격 중이다.
더욱 심각한 것은 미국에서 박사 학위를 받아도 국내 'U턴'을 기피하고 있다는 점이다. 미국에서 이공계 박사학위를 받은 이들의 현지 정착률은 1992~95년 20.2%에 불과했지만, 96~99년 31.3%, 2000~2003년에는 46.3%로 급등했다. 고급 두뇌의 절반 가량이 해외로 유출되고 있는 것이다.
보고서는 "선진국의 경우 과학기술 이론과 기술 응용력 중 최소한 한 분야에서라도 강점을 갖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어느 분야에도 강점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며 "고급 두뇌의 이탈과 질 저하는 정부와 대학 등 공급자 주도의 정책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가 두뇌강국으로 거듭나기 위한 방안으로 ▦ 글로벌 수준의 대학원 육성 ▦ 다양한 분야의 이공계 전문인력 육성 ▦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한 국내 인력 부족분 보완 등을 제시했다.
이영태기자 yt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