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군사정부의 버팀목인 중국이 미얀마 사태의 연착륙 쪽으로 입장을 정리했다.
장위(姜瑜)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5일 “미얀마 정부와 국민이 현 사태를 적절히 해결할 것으로 믿는다”며 “미얀마 안정은 국제사회 이익에도 부합한다”고 말했다.
이는 미얀마 군사정부와 민주화 세력이 타협해야지 파국으로 치달아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담고 있다. 중국은 미얀마 군사정부의 유지라는 국익과 강경 해결의 역풍간 딜레마에 빠져있다.
사실 미얀마 군사정부는 중국 국익에 부합하는 파트너이다. 미얀마에게 중국은 최대 교역국가이자 최대 군사 원조국이다. 올해 7월까지 중국은 미얀마에 9억 달러를 수출했고 미얀마는 중국산 공산품 없이는 생존이 불가능하다. 미얀마로 들어가는 중국 군수품은 미얀마 군사정부의 물적 토대다.
중국이 미얀마 군사정부에 지원을 아끼지 않는 것은 인도양과 접한 미얀마의 지정학적 위치 때문이다. 중국은 미얀마에 대 인도 감청기지를 운영하면서 인도 견제 카드로 활용하고 있다. 또 중국 원유 수송로인 말라카 해협을 대신할 미얀마-중국 윈난(雲南) 파이프 라인 건설도 추진중이다.
중국 기업들은 미얀마에서 62개 항목의 천연자원 개발사업을 진행한다. 미얀마는 중국 원료 공급기지인 셈이다. 중국이 유엔 안보리에 미얀마 군사정부 제재 결의안이 상정될 때마다 거부권을 행사하는 것은 이런 배경에서다.
하지만 중국은 미얀마 군사정부의 경직된 철권 통치가 비효율적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팽팽히 부푼 풍선은 터지기 쉽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국은 올 6월 미국-미얀마간 베이징 회동을 주선했고, 탕자쉬안(唐家璇) 중국 국무위원은 “미얀마가 자국 현실에 맞는 민주화를 추진하기를 바란다”고 밝힌 바 있다.
내년 베이징(北京) 올림픽도 변수이다. 민주화 운동을 유혈 진압하는 독재정권을 비호한다는 중국의 이미지가 올림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국의 이익을 보장할 최상의 카드는 유화정책을 통한 사태 해결이다. 하지만 중국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일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다. 군사정부가 어떤 선택을 하든 중국은 결국 수용할 수 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베이징=이영섭 특파원 young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