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00m 마다 쓰레기통… 디자인도 산뜻하게 바꾸자
1990년대 중반부터 길거리에서 사라지기 시작한 서울 거리의 쓰레기통이 지금보다 두배 이상 늘어난다. 한국일보와 희망제작소가 거리의 쓰레기통 현황과 문제점을 지적한 후(7월14일자 10면,7월 30일자 9면) 서울시가 검토를 거쳐 받아들이기로 한 것이다.
서울시는 18일 “현재 3,700개인 시내 가로쓰레기통을 7,700개로 늘리고, 디자인도 개선하는 내용을 담은 가로 쓰레기통 개선 추진계획을 마련해 올 연말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담배꽁초 등 쓰레기 무단투기에 대한 단속이 강화되면서 가로휴지통을 더 많이 설치해 달라는 시민들의 의견이 있어 시민 불편 해소 차원에서 가로쓰레기통을 증설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시는 12월에 시 디자인서울총괄본부에서 가로휴지통 표준 디자인안을 마련하는 대로 이를 바탕으로 가로휴지통 설치 및 관리를 맡고 있는 각 자치구에 휴지통 증설을 요청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걸어서 10분 이내인 약 500m마다 휴지통을 설치하되 도심지역에서는 걸어서 3분 내외인 230m마다 휴지통을 비치할 계획이다.
특히 서울시는 버스정류장, 지하철출입구, 쓰레기 무단투기 중점관리지역 등을 중심으로 휴지통을 증설하기로 했다. 또 새로 설치되는 쓰레기통은 일반 쓰레기 뿐 아니라 재활용품도 함께 분리 수거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와 함께 오전 5시부터 오후 3시까지 하루 2∼3회 청소하던 것을 오후 3시 이후에도 청소하며 상시 관리하기로 했다.
서울시내 가로휴지통 수는 일종의 쓰레기 유료화인 종량제 실시 직후인 1995년 7,605개에서 2007년 5월 현재 3,707개로 계속 줄어들면서 시민들이 담배꽁초와 껌 등 작은 쓰레기를 버리는 데 불편을 겪었다.
자치구별로 평균 148개지만 각 자치구별로 편차가 심하며 특히 도심지역인 종로구는 15개, 중구는 53, 마포구는 71개로 휴지통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반면 강남구는 610개, 서초구는 478개, 송파구는 416개로 서울시내 평균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가로휴지통은 종량제 실시 이후 일부 시민들이 종량제 봉투에 담지 않은 쓰레기를 무단으로 휴지통에 버리는 문제 등이 발생하면서 각 자치구들이 점차 그 수를 줄여왔다.
자원순환사회연대 관계자는 “명동에는 매일 16곳, 신촌과 강남역에서는 각각 27, 30곳의 무단투기지역이 발생하고 있다”며 “수거와 단속강화보다는 도시미관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친환경적인 쓰레기통을 설치하는 게 여러모로 낫다”고 말했다.
정민승 기자 msj@hk.co.kr
■ '민원개선 아이디어 53건' 현실화 방안 논의
“시민과 공무원이 손을 잡고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들어 나갑시다.”
서울 노원구 공무원과 민간싱크탱크 희망제작소, 정부 중앙부처와 서울시의 국민제안 담당관, 국회의원과 시민들이 18일 한자리에 모여 ‘공무원과 시민이 함께 바꾸는 세상’ 포럼을 열었다.
이날 종로구 계동 국가청렴위원회에서 열린 포럼에서는 노원구 공무원들이 본보와 희망제작소 공동기획 ‘이건 어때요? 시민의 아이디어가 세상을 바꾼다’에 제안한 53건의 민원 개선 아이디어(8월17일, 23일, 30일자 각 11면)의 현실화 가능성을 진지하게 논의했다.
이노근 노원구청장은 자동차 관련 과태료 제도의 실효성 확보, 재개발구역 내 재난위험건축물 철거제도 개선 등 5개의 ‘베스트 아이디어’를 발표했다. 박원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는 “공무원이 주민을 위해 솔선해 제도 개선 아이디어를 내고, 관련 인사들이 머리를 맞대고 실현 방법을 고민하는 것은 민관 협력의 좋은 모델”이라고 평가했다.
포럼에는 사회창안국회의원 모임(호민관 클럽) 우원식 홍미영 의원, 청렴위 장태평 사무처장, 라영재 민간협력팀장, 서울시 장석명 정책기획관, 행정자치부 이재엽 제도혁신팀장, 국민고충처리위원회 최영균 제도개선팀장, 시민 김형권씨 등이 참석했다.
본보와 노원구, 희망제작소는 10월 공무원의 제안을 담은 ‘아이디어북’을 발간하고 11월 사회창안국회의원모임과 2차 포럼을 연다.
성시영 기자 su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