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언론학회 '취재선진화 방안' 토론회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언론학회 '취재선진화 방안' 토론회

입력
2007.09.13 00:07
0 0

기사송고실 및 브리핑 룸 통합을 골자로 한 정부의 이른바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은 기자실이라는 물리적 공간을 통합하는 데 그치지 않고 취재제한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한국언론학회 주최로 12일 서울 프레스센터 외신기자클럽에서 열린 ‘기자실 제도와 언론자유의 경계’라는 주제의 토론회에서 정일용 기자협회 회장은 “정부의 방안이 실행되지도 않았는데 일선 공무원들은 벌써부터 취재기피를 하고 있다”며 “기자들은 정부안대로 시행되면 취재가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는 걱정에 휩싸여 있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이어 “기자들은 기사송고실과 브리핑룸 통폐합에 그치지 않고 취재제한으로 이어질 가능성 때문에 반대하는 것으로 서로간에 신뢰가 생기지 않으면 접점을 찾기가 힘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회는 정 회장과 오연호 인터넷기자협회 회장이 현업단체의 대표로, 양정철 청와대 홍보기획비서관이 정부측 대표로 참석했으며 김동민 한일장신대 교수, 김사승 숭실대 교수, 남재일 한국언론재단 연구위원, 손영준 국민대 교수, 이재진 한양대 교수, 최영재 한림대 교수 등 언론학자들이 참여했다.

토론자들은 제도의 취지보다는 시행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주로 지적했다. 남재일 연구위원은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은 이슈를 만들어내는 기자를 적으로 만드는 정신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좋은 취지로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더욱이 정책 추진과정에서 정부가 지나치게 밀어붙이면서 논란이 커졌다”고 말했다.

김사승 교수는 “취재 공간의 문제와 기자들의 관행이 복잡하게 얽혀있는데 정부는 공간에 집착, 차단하는 쪽으로 밀어붙여 기자들이 반발하는 것”이라며 “기자들에게 기자실이라는 공간은 취재원에 대한 통제, 정보 접근성 등과 밀접히 관련돼 있다는 점을 염두에 뒀어야 하지만 정부는 그렇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이재진 신문방송학과 교수도 “궁극적으로 언론도 변하고 정부도 변해야 하지만 언론변화가 정부의 정책에 의한 것이라면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공무원의 대면 접촉 제한을 둘러싸고는 공방이 벌어졌다. 김동민 교수는 “훈령에는 공무원과 약속하고 지정된 장소에서 만난 뒤 보고하도록 돼 있어 대면취재를 원천 봉쇄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접촉과정에서 지체 현상이 있을 수 있지만 이는 언론이 감수해야 한다”고 밝혔다.

양정철 비서관도 “이번 조치는 특정 언론사 중심으로 폐쇄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기자실을 다른 언론사도 이용할 수 있도록 공간을 허용하는 것”이라며 “시행과정에서 발생할 여러 문제는 기자들과 함께 고쳐가면 되지만 대면접촉권만을 문제 삼아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반면 최영재 교수는 “사무실 출입제한 및 출입통제, 대면접촉 제한은 뉴스의 생산 과정에 정부가 관여하는 것으로 궁극적으로 언론자유를 침해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기자실의 폐쇄적인 운영 문제를 놓고 참석자들 간에 설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최영재 교수는 “기자실 문제는 관행이며 문화, 역사와 관련이 있는데 공간만으로 해결하려고 한 것은 문제를 잘못 짚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양 비서관은 “학계에서 기자실의 관행에 대해 지적이 있어왔고 여러 언론사들도 고치려고 애를 썼지만 고쳐졌는가”라고 반문하며 “정부는 그런 관행을 인정하지 않고, 폐쇄된 기사송고실을 고쳐 다른 언론사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또 그는 “국민의 알권리를 내세워 반대하는 기사들이 지면에 가득하다”며 “기자들의 취재 편의를 국민의 알권리로 인식하면 안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일부에서는 정부의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에 대한 옹호의 목소리도 나왔다. 오연호 회장은 정부의 방안을 저널리즘의 거대한 변화의 한 흐름으로 규정하면서 “지금은 모든 저널리즘의 표준이 변하고 있는 인터넷 시대”라며 “이번 방안은 취재에 대한 변화를 제도적 차원에서 보여주는 것으로 이렇게 변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동민 교수도 “정부 정책에 잘못이 있으면 물론 고쳐야 하고 지적해야 하지만 기자들의 주장이 타당한 것인지 아니면 특권의식과 집단 이기주의 발로, 정부를 공격하기 위한 의도인지 검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대혁 기자 selected@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