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르푸르 사태의 최우선 해결과제는 현지에서 벌어지고 있는 ‘무정부적인 폭력’을 가라앉히는 일이다.
2003년 사실상의 내전이 시작된 이후 대량학살과 강탈, 강간의 일상이 장기화하면서 다르푸르는 이제 애초의 정치적 성격조차 모호하게 느껴질 만큼 오직 야수적인 본능이 판치는 ‘생지옥’으로 변했다.
수단 중서부 지역에 남북으로 길게 자리잡은 다르푸르 사태의 중심축은 북부 아랍계 이슬람 세력과 남부 기독교 흑인 원주민과의 갈등이다. 하지만 이 갈등의 이면엔 1956년 독립한 수단 전체의 국가 분할 문제가 걸려있다.
수단은 수도 하르툼을 중심으로 동부와 중ㆍ북부를 아우르는 지역, 그리고 중서부 다르푸르 지역 등 정치ㆍ지리적으로 3개 권역으로 나눠진다.
이중 기독교 흑인 원주민이 많이 사는 남부는 독립 후 정권을 장악한 이슬람 세력에 대항해 지난 20여년간 분리독립 투쟁을 벌여왔다. 미국은 이 과정에서 에티오피아 등 주변국을 앞세워 남부를 지원해왔으며, 2005년엔 정부와 남부 반군 사이의 평화협정을 중재했다. 협정의 골자는 6년 후 남부 주민들이 독립국가로 갈지, 수단에 남을지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이런 갈등을 배경으로 수단 정부는 남부 일부에 기독교 원주민이 살고 있는 다르푸르 전지역의 ‘아랍화정책’을 강행했다. 이에 다르푸르 남부 푸르족 등은 ‘수단해방군(SLA)’ 등 무장단체를 조직해 2003년초부터 무력투쟁에 나섰다.
수단 정부는 이를 남부 독립구도에 편승해 다르푸르 남부도 분할하려는 정치적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보고 대대적인 소탕에 나선다.
이 때 중앙정부의 비공식 지원을 받은 아랍계 민병조직 ‘잔자위드(말탄 광인들)’가 반군 및 반군지역에 대해 대량학살과 인종청소를 자행하면서 지금까지 20여만명이 희생되고 250만명의 난민이 발생했다.
다르푸르 사태 해결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것은 막대한 석유 이권이다. 2004년 기준 하루 35만 배럴 이상 생산하는 수단의 원유자원이 주로 남부에 집중돼, 이 지역 분리를 모색하는 미국의 입장도 자원 이해에 따른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반면, 전체 원유수입의 10%를 수단에 의존하면서 현지 유전개발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는 중국은 기본적으로 현 정부를 지지하고 있어 국제사회의 입장을 크게 가르고 있다.
하지만 최근엔 이 같은 정치ㆍ경제ㆍ인종적 배경조차도 극단화하고 있는 현지 사정을 설명해주지는 못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2일 “아랍계와 기독교 원주민들간의 갈등으로 알려졌던 것과 달리, 최근 다르푸르 남부에서 아랍계 테르젬족과 마흐리아족간 무력분쟁이 격화했다”며 “이에 따라 다르푸르 사태는 더욱 복잡한 양상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뉴욕=장인철 특파원 icja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