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가니스탄에서의 피랍 사건이 마무리되는 것을 기다렸다는 듯이, 일부 개신교 단체가 적극적 선교활동의 재개를 주장하고 나섰다. 한국세계선교협의회는 "정부가 탈레반과 아프간 내의 기독교 선교중지에 합의한 것에 우려를 표시한다"는 의견을 내고, "선교와 관련된 연합기구를 만들어 피랍사태가 재발할 경우 정부 대신 교계가 나서 해결하겠다"고도 밝혔다.
정부가 여행을 통제하는 위험지역에서의 선교를 자제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는 우리는, 교계 일각의 이 같은 방침의 허황됨과 무모함을 재차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3년 전 김선일씨가 이라크에서 살해됐을 때 한동안 선교 방식에 대한 자성이 일었으나 곧 잊혀지고, 이번의 사태를 맞게 된 것이다.
그 동안 전 국민이 나눈 심적 고통, 많은 국력 낭비, 우방국과의 관계에 미치는 외교적 부담 등을 고려할 때, 이런 고집이 허용돼서는 안 된다. 만일의 불행한 경우 자체 해결하겠다는 호언도 단지 몰지각해 보일 뿐이다.
그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을 수 있으나, 우리 정부는 피랍 사태를 맞아 테러 단체인 탈레반과 직접 협상하는 선례를 남기면서 40일을 넘겨 어렵게 구출했다. 금기를 깬 이런 선례가 앞으로 한국인을 테러의 좋은 표적으로 만들 수 있다는 상식을 모르고 한 행위라고 볼 수는 없다.
이제 교계 뿐 아니라 국민 간에도 정부의 여행통제 조치를 준수하고 위험을 무릅쓰는 선교방식은 바뀌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를 무시하는 것은 교회의 이기주의다.
정부가 피랍자 가족이나 교회 등에 구상권을 행사하기로 한 점도 이해할 수 있다. 일본 정부도 3년 전 이라크에서 인질이 됐던 자국민 3명에게 구상권을 행사한 예가 있다.
종교적으로 선교가 중요하더라도 이번 피랍사건 같은 경우는 특정 종교의 문제를 넘어 국가와 국민의 문제로 비화된다. 일부 기독교 단체는 이 사건에서 보여준 전 국민의 관심과 기대에 부응하여, 합리적으로 선교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 구상권 행사의 취지는 돈만 부담하면 된다는 게 아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