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 - 기교 국제적 수준… 지방학생들 강세 이채
예선, 본선 모두 참가자들의 수준차가 크지 않아 매번 심사숙고 해야 했고, 결국 2명에게 공동 3위를 주기로 결정했다. 예년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의 연주가 많았다.
특히 기교적인 면에서는 참가자 대부분이 국제적 수준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였다. 다만 욕심을 부리다 보니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연주해 명확한 표현이 결여된 경우가 있었고, 곡의 성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느낌을 받기도 했다.
예선 과제곡 중 하나였던 드뷔시 연습곡에서 그런 경향이 두드러졌다. 음악에 대한 이해의 폭을 좀 더 넓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1위 박영성은 대담한 연주 태도와 음악적 유연성, 다양한 표현력 등이 돋보였다.
간혹 의욕이 앞서서 절제가 부족했던 부분이 보여 아쉬웠지만, 좋은 연주자가 될 가능성이 엿보였다. 올해 피아노 부문에서는 특이하게 박영성을 비롯한 지방 학생들이 좋은 기량을 보여주며 강세를 보여 이채로웠다. 김석(경희대 교수)
● 바이올린 - 생동감·스케일·개성 ‘3중주’ 들은 듯
1위 김봄소리는 차이코프스키 협주곡 서주의 우울한 선율을 아름답고 섬세하게 표현했다. 각 악장에 대한 세밀한 연구와 많은 연습이 뒷받침됐음을 여실히 보여줬다.
간혹 과장된 표현과 불안한 음정도 있었으나 정교한 기교와 생동감 넘치는 템포로 탁월한 연주를 했다. 2위 윤지연은 몸에서 우러나오는 큰 톤으로 훌륭한 연주가로 성장할 수 있는 좋은 조건을 가졌음을 보여줬다. 유연한 활 놀림과 화려한 기교로 어려운 부분도 거뜬히 해냈으나 고음 처리에서 약간 불안감을 줬다.
전체적으로 건실하고 스케일이 큰 연주였다. 3위 권그림은 타고난 자질을 과시하면서 뚜렷한 개성과 명쾌한 음질로 연주했다. 가끔 곡의 의도에서 벗어나 몰아붙이거나 거친 음색으로 좋은 음색을 흐려 아쉬웠다.
좀더 섬세하고 애틋한 감정표현을 한다면 더 좋은 연주가 되리라 생각한다. 과제곡이 어려운 편이었지만 전체적으로 높은 수준의 연주가 많아 경쟁이 치열했다. 본선에 오르지 못한 학생 중에도 훌륭한 테크닉과 대가적인 재능을 가진 학생이 있었다. 모두 넓은 안목과 경험을 토대로 좋은 연주자로 성장하기 바란다. 현해은(서울대 명예교수)
● 첼로 - 예선곡보다 본선곡 준비 부족 아쉬워
참가자 21명은 예선 과제곡인 보케리니 소나타 A장조를 통해 높은 수준의 기량과 음악성을 보여줬다. 고전 작품 스타일의 감각을 적절한 음색과 어법으로 표현했으며 완성도도 기대 이상이었다. 본선에서는 4명의 진출자들이 드보르자크 협주곡으로 겨뤘다. 1등을 한 조윤경은 곡 해석에 있어서 무리가 없었고, 음악을 유창하게 풀어냈다.
특히 어깨가 편안해서 팔과 손의 움직임이 유연하고 정교했으며 리듬, 음정이 정확하고 소리 조절력이 탁월했다. 2위 김민승은 능숙한 연주력을 보여주었으나 악상의 입체감이 아쉬웠고 빠른 악절에서는 서두르는 가운데 음정과 리듬의 발음이 정교하지 않은 것이 부담이었다.
3위 김지현 역시 열정과 박력이 있는 연주였고, 특히 느리고 서정적인 부분의 투명하고 윤택한 음색이 인상적이었다. 반면 크고 힘찬 소리를 낼 때 자주 소리가 파열되고 공격적으로 표현된 것이 흠이었다. 수상자 모두 기본을 갖춘 연주력을 보여 주긴 했으나 예선곡과 달리 본선곡 준비가 부족했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윤영숙(서울대 교수)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