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세론’이 ‘변화론’을 누를 것인가.
민주노동당 대선후보 경선 초반전은 권영길 후보의 대세론이 위력을 발휘했다. 하지만 최대 격전지인 수도권 경선이 남아 있어 혁신과 변화를 주장한 노회찬ㆍ심상정 두 후보의 역전 가능성도 적지 않다.
민노당 경선은 전체 유권자의 40%를 넘는 자주파(NL)의 표심이 전체 판세를 좌우하는 전형적인 조직투표 양상을 띠고 있다. 당연히 이들의 공개 지지를 끌어낸 권 후보가 최대 수혜자다.
정파색이 옅은 제주에서 고전한 권 후보가 NL계의 본거지격인 광주ㆍ전남에서 59.85%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은 게 단적인 예다. 물론 포항ㆍ구미 등 대규모 공단지역을 중심으로 평등파(PD)가 많은 대구ㆍ경북에서 심 후보가 선전한 것도 마찬가지 이유다.
24~26일 초반 3연전 결과 권 후보가 무난히 1위를 차지했지만 과반 득표자가 없다는 점은 향후 이변 가능성을 엿보게 한다. 결선투표제를 도입한 만큼 공히 PD계의 지지를 받고 있는 노ㆍ심 후보가 연대할 경우 최종 승부는 예측불허일 수 있다.
권 후보측이 “1차 경선에서 과반을 획득해 내달 9일로 후보 선출을 끝내야 ‘한나라당 대 민노당’의 선명한 대결 구도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호소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현재로선 29일 대전ㆍ충남, 9월 2일 경남, 3일 부산 등 3곳의 투표 결과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대전ㆍ충남은 제주와 마찬가지로 특정 정파의 장악력이 약한 곳인 반면 경남, 부산은 권 후보의 텃밭이다. 이들 지역의 투표 결과까지를 합산했을 때 권 후보의 과반 득표 여부가 이후 수도권 판세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양정대 기자 torc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