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美 서브프라임 쇼크/ 9년 전 'LTCM 악몽'과 닮은꼴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美 서브프라임 쇼크/ 9년 전 'LTCM 악몽'과 닮은꼴

입력
2007.08.11 00:08
0 0

서브 프라임 모기지 발 유동성 위기는 금융시장의 연쇄적인 신용위기 경로를 타고 확산된다는 점에서 1998년 롱텀캐피털매니지먼트(LTCM) 파산 때와 닮았다.

당장 각국 중앙은행이 서둘러 사태 진화에 나선 점도 비슷하다. LTCM 파산 땐 자유시장주의가 무색할 정도로 미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직접 나서 뉴욕 FRB 건물에서 미 금융사상 최대규모의 국제 채권ㆍ채무자회의를 열어 결제시점을 조정했다.

헤지펀드의 위기도 비슷하다. 골드만삭스의 ‘노스 아메리칸 에퀴티 오퍼튜니티’ 펀드를 비롯해 고수익을 노리고 모기지 채권에 투자한 월스트리트의 상당수 헤지펀드가 이 달 들어서만 10% 내외의 큰 평가손을 내며 줄줄이 청산 압력을 받고 있다.

금융시장의 패닉을 가라앉히기 위한 유동성 공급 조치인 이른바 ‘버냉키 풋(Bernanke put)’이란 단어도 등장하고 있다. LTCM 사태 때도 앨런 그린스펀 전 FRB 의장의 유동성 공급을 두고 ‘그린스펀 풋(Greenspan put)’이란 단어가 등장했다.

다른 점도 있다. LTCM 때는 러시아 채무불이행 등 사태의 단초가 신흥시장의 금융불안에 있었다. 반면 이번 사태는 선진 금융시장의 ‘유동성 축제’에서 비롯됐다.

LTCM은 국제금융시장에서 발생하는 지역시장간 자산 가격차를 노리는 가장 안전한 ‘아비트리지(Arbitrageㆍ차익거래)’ 투자였다. 그러나 이번엔 애초 고위험을 감수한 금융거래가 만연됐다는 점도 다르다.

뉴욕=장인철특파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