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장은 평양의 대표적 국빈급 영빈관인 백화원 초대소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평양 대성구역 임흥동에 위치한 백화원 초대소는 2000년 정상회담이 열린 곳이다. 또 2002년 9월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당시 일본 총리와 김정일 국방위원장 간 정상회담이 열린 곳이다. 1983년 통로식으로 연결된 3개 건물로 신축됐고, 건물 앞에는 여러 개 분수가 설치된 호수가 있다. 뒷편은 울창한 숲으로 덮여 있다.
북한의 국회의사당인 만수대 의사당도 회담 장소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있다. 만수대 의사당은 최고인민회의 등 중요 국가회의가 열리고, 북한 고위 간부들이 외국대표단과 회담을 갖는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김 국방위원장은 상대적으로 이곳을 회담 장소로 잘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가능성은 낮다.
이번 회담에는 남측에서 문재인 청와대 비서실장, 백종천 청와대 안보실장, 이재정 통일부 장관, 김만복 국가정보원장, 권오규 경제부총리 등이 배석할 것으로 보인다.
북측에서는 김양건 노동당 통일전선부장, 김영일 내각총리, 최태복 최고인민회의 의장, 최승철 아태평화위 부위원장 등이 배석할 가능성이 높다. 이들은 북핵 문제와 남북 경제 협력 등 의제들이 산적한 만큼 최소 3, 4차례 회담을 갖고 공동선언문 도출을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앞서 정부는 ‘노무현 대통령의 평양 방문에 관한 합의서’에 대한 국무회의 심의와 대통령 비준 절차를 거쳐야 한다. 지난해 6월부터 시행 중인 남북관계발전법 때문이다.
이후 각종 실무협의를 통해 정상회담 형식, 시간, 장소, 숙소 및 방문지, 대표단 규모 등을 결정하고, 회담 1주일 전까지 선발대를 파견해 의전 통신 경호 문제를 최종 점검한다. 의제의 경우 1차 회담 때처럼 대통령 특사가 파견돼 북측과 사전 조율할 가능성이 높다.
정상원기자 ornot@hk.co.kr신재연기자 poet333@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