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회복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지만, 가계의 소득증가율은 오히려 후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처분가능소득 증가율도 뒷걸음질치면서 민간소비 부진이 경기 회복세의 발목을 잡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통계청이 8일 발표한 ‘2분기 가계수지동향’에 따르면 2인 이상 전국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309만2,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시기에 비해 3.5% 증가에 그쳤다. 이는 1분기 증가율 6.2%의 절반 수준이다. 더욱이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2분기 실질소득 증가율은 1.0%에 그쳐 전분기 4.0%를 크게 밑돌았다.
소득 증가폭이 줄어들면서 가계수지도 나빠졌다. 가계소득에서 조세공과금 비용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월평균 269만4,000원으로 전년동기비 3.1% 증가에 그쳐 1분기 6.0%의 절반에 그쳤다. 재정경제부 관계자는 “2분기 가계소득 증가폭이 줄어든 것은 공무원 상여금 지급이 1분기에 집중됐기 때문”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하지만 가계소득 증가세가 집값 급등 등 자산가격 버블이 늘어났던 지난해 4분기(7.7%)와 올 1분기(6.2%)에 반짝 급등했다가 다시 급격히 떨어진 것을 감안하면 2분기 가계소득의 침체는 낮은 취업률 등 구조적인 문제가 더 큰 원인이라는 지적이 많다. 결국 가계소득 침체 지속과 이에 따른 민간소비 부진 때문에 최근의 경기 회복세가 ‘반짝 국면’에 그칠 것이라는 우려가 늘어가고 있다.
계층간 소득 격차도 더 벌어졌다. 소득 최상위 20% 집단(5분위)의 소득을 최하위 20% 집단(1분위)으로 나눈 값인 ‘소득 5분위 배율’이 전국 가구의 경우 7.27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 7.24에 비해 소폭 높아진 것. 그만큼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화됐다는 얘기다. 1분위 계층은 처분가능소득보다 소비지출이 많아 33만4,000원의 적자를 나타낸 반면 5분위 계층은 188만7,000원의 흑자를 보였다.
현대경제연구원 한상완 경제연구본부장은 “2분기 이후 수출호조 지속과 건축경기 회복으로 경기가 상승하고 있지만, 민간소비의 경제성장 기여율이 40%를 웃도는 상황에서 가계소득을 지속적으로 뒷받침할 고용증가와 이에 따른 민간소비 회복이 이어지지 않는 한 최근 경기상승은 지속되기 힘들다”고 전망했다.
정영오 기자 young5@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