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굴 뽑겠나”대 “누가 낫다고 생각하나”.
한나라당의 두 유력 경선후보가 여론조사 문구 하나를 두고 싸우고 있다. 일반인이 보기엔 별 반 차이도 없는데 양측은 결사적이다.
문제는 다소 한심스러워 보이는 이번 사태가 오래 전부터 예견돼 왔다는 점이다.
여론조사의 경선 반영은 여러 오류 가능성을 품고 있다. 대표적인 것만 얘기해보자. 여론조사는 표본오차라는 게 있다. 전수조사가 아닌 표본을 뽑는 조사엔 필연적이다. 1,000개의 표본을 뽑으면 표본오차는 ±3.1%다. A후보 지지율이 30%로 나왔다면 실제론 33.1%에서 26.9% 사이에 걸쳐 있다는 얘기다.
어쩔 수 없는 통계적 오차가 있음을 표본오차는 실토하고 있는 것이다. 여론조사 1%는 한나라당 경선에선 300표다. 통계 오차로 당선자가 바뀔 수 있다는 뜻이다.
이것만이 아니다. 19일 여론조사 기관들은 전국적으로 전화를 돌릴 것이다. 그런데 기준이 없다. 전화 받는 사람이 우선이다. 전화 받은 사람이 한명을 택할 것이다. 하지만 그 값어치는 현장에 나와 투표하는 선거인단 4~5명의 몫이다. 집에서 TV 보다 전화 받고 무심코 답한 몇 백 명이 대통령 후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뿐인가. 질문에 따라 지지율이 5%나 오락가락 할 수 있음은 이미 양측의 지지도-선호도 논쟁에서도 드러났다. 심지어 질문자의 억양에 따라 수%가 움직일 수 있다.
전문가들은 말한다.“여론조사는 추세와 추이로만 봐야 한다”고. 오죽하면 “(여론조사 경선은) 세계적 망신거리”(김헌태 한국사회여론연구소장)이라는 말이 나올까. 여론조사 경선은 선진국, 후진국을 불문하고 전례가 없다.
이런 사정을 한나라당인들 몰랐을까. 경선 룰이 확정된 2005년 11월로 가보자. 당시에도 “여론조사는 기술적 법적 시비가 있을 수 있으니 추후 더 논의해보자”는 지적이 당내에 많았다. 더 앞서 2002년으로 돌아가보자. 당시 한나라당은 여당의 국민경선에 맞서 대선 후보 경선에 여론조사 반영을 검토했다가 폐기했다. 오차범위 등의 문제 지적을 받고서 였다.
하지만 뻔한 문제는 ‘유행’에 묻혀 버렸다. 2002년 노무현-정몽준의 여론조사 단일화 이후 여론조사는 하나의 추세가 돼 버렸다.“비용과 시간 적게 들이고 이 보다 더 민심을 잘 반영할 방법을 대보라”는 편의주의적 발상이 득세하고 있다.
양 캠프도 “그러니 어쩔 수 있냐”는 표정이다. 하지만 이번으로 끝내야 한다. 여론조사로 대통령 후보를 결정하고, 주요 정당의 대표를 결정하는 코미디는 재고해야 한다.
이동훈 정치부기자 dh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