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가니스탄 한국인 피랍 사건으로 정부의 해외정보 수집 능력 부재가 다시 도마에 오르고 있다.
정부는 피랍 사건 발생 나흘째인 22일까지도 정확한 피랍 규모를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 외교통상부는 20일 피랍 인원에 대해 20여명, 23명으로 오락가락하다 오후 늦게야 “납치 규모는 21명이다. 서울에서 간 사람이 19명, 현지에서 합류한 사람이 2명”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후 탈레반이 납치 인원을 18명, 22명으로 바꿔 밝히면서 혼선이 시작됐다. 송민순 외교부 장관은 21일 브리핑에서 “한국에서 떠난 사람이 20명, 현지에서 합류한 사람이 3명으로 모두 23명으로 보고 있다”고 정정했다.
그러나 외교부는 22일에도 여전히 “(피랍자) 숫자가 나오면 솔직히 곤혹스럽다”며 “일단 23명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정확치 않을 수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피랍자들의 성별에 대해서도 정부 당국자는 이날까지 “아직 자신이 없다”고 말했다.
가장 중요한 납치단체의 요구 사항 및 피랍자들의 안전에 대해서도 정부는 확신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정부 관계자는 “탈레반의 요구사항 및 시한이 그럴(사실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기 때문에 두 가능성 모두에 대한 전략을 짜야 한다”고 말했다.
피랍자들의 안전과 관련해서는 “안전 문제를 계속 확인 중이며, 다행히 위해를 당했거나 일부가 불행한 일을 당했다는 첩보는 없다”며 확답을 하지 못했다.
정부는 무장단체와의 접촉 외에 현지 대사관, 아프간 중앙ㆍ지방 정부, 미국 등 아프간 파병국, 외신 등으로부터 주요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대규모의 테러정보통합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국가정보원이 지금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잘 모르겠다”는 불만이 정부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2004년 고 김선일씨가 이라크에서 피살된 이후 국정원의 부실한 해외정보 수집 능력, 부처 간 정보교류 네트워크 부재 등이 문제로 지적됐었다. 이번에도 사건의 진행 경과에 따라 같은 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신재연 기자 poet333@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