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또 한 명의 범 여권 대선주자가 탄생했다. 산업자원부 장관 출신의 통합민주당 신국환 의원은 “국민소득 4만 달러 시대, 신나고 빛나는 나라를 만들겠다”며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여느 출마 행사처럼 범 여권 의원 수십 명이 참석해 그의 도전을 축하했다.
범 여권에는 이미 김두관 김영환 김원웅 김혁규 손학규 신기남 이해찬 정동영 천정배 한명숙 후보가 대선후보 레이스에 뛰어든 상태다. 또 강금실 강운태 김병준 문국현 유시민 조순형 추미애씨 등 자천타천으로 거론되는 인사까지 합하면 20명에 육박한다. 이름을 읽다 지칠 정도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정치권 안팎에는 이런 상황을 희화화한 이야기도 많다. “이제는 대선 불출마 선언식을 열어야 기사가 될 것”이라는 농담이 돌고, “대선주자끼리 원내교섭단체를 만들어도 되겠다”는 비아냥이 나온다. “이 많은 사람들을 다 데리고 국민참여경선을 할 수 있겠느냐”는 현실적 고민도 있다.
40세 이상의 피선거권을 가진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대통령 자리에 도전할 수 있다. 더구나 정치인의 대통령 꿈은 아주 자연스럽다. 하지만 최근 범 여권의 상황은 상식을 벗어났다는 지적이 무성하다.
지지율 1%도 되지 않는 후보가 수두룩하다 보니 과연 이들의 속내가 무엇이냐는 뒷말도 있다. 고만고만한 사람들 사이에서 운이 좋으면 후보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로또 심리’나, 출마선언 노림수가 대선이 아니라 내년 총선을 위한 이름 알리기가 아니냐는 것이다.
그래서 일각에는 “내년 총선 불출마 선언을 한 사람만 경선에 참여시켜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마저 있다. 구심점을 잃고 분열된 범 여권의 대선주자 난립이 정치에 대한 불신과 냉소를 부추기고 있다.
정치부 정상원기자 ornot@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