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국방위원장이 3일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을 면담, “최근 한반도 정세가 일부 완화될 기미를 보이고 있다”고 말해 시선을 끌고 있다.
한반도 정세 완화에 대한 김 위원장의 직접 언급은 2ㆍ13합의 본격 이행을 앞두고 긍정적인 신호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언급은 북측이 북핵 문제에 따른 한반도 긴장을 해소하기 위해 적극적인 자세로 전환했다는 것을 보여 주는 신호라는 분석까지 나온다.
김 위원장의 발언 배경에는 자주권 침해로 여기는 마카오 은행 방코델타아시아(BDA) 북한자금 문제가 미국의 노력으로 해소되고 최근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차관보가 방북한 게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도 이를 북측이 주장하는 ‘부시 행정부의 대북적대시 정책’이 전환되는 조짐으로 해석하고 있음이 분명하다. 물론 여기에는 지난달 방북 당시 힐 차관보가 언급한 미측의 관계 정상화 의지 표명도 작용했다. 김 위원장이 그러면서도 ‘일부’라고 토를 단 것은 완전한 신뢰를 보내기에는 미흡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북측 지도자가 미측 자세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만큼 향후 북핵 문제에 있어 북측의 전향적인 자세 변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일각에서는 북측이 미측의 움직임에 화답해 이르면 5일 폐쇄에 앞서 영변 5MW 원자로에 대한 가동중단 조치를 취할지도 모른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날은 미국 시간으로는 7월 4일 독립기념일이어서 미측에 성의를 보이는 의미가 있다. 북측은 BDA 문제로 미측과 첨예한 갈등을 겪던 지난해 7월 5일 대포동 2호 미사일을 쏘아 올렸다.
김 위원장은 특히 양 외교부장에게 “각 당사국은 당연히 초기단계 조치를 이행해야 한다”고 말해 2ㆍ13합의 이행의 적극적 의지를 밝혔다. 따라서 미측의 상응조치, 즉 북미 관계 정상화의 진도에 따라 북측도 불능화를 조기에 이행할 자세가 돼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정부 관계자는 “북측이 한반도 비핵화를 지연시킬 의도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최고 권력층의 의지도 중요하지만 세부 협의에는 난관이 많다”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정진황 기자 jhchu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