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이 해체냐, 생명 연장이냐 하는 중대 기로에 섰다. 당 지도부가 대통합신당 추진의 상징적 마감 시한인 14일까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15일 이후 연쇄 탈당이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당은 14일 지도부ㆍ국회의원ㆍ당협운영위원장 연석회의를 갖고 내달 중 임시 전당대회를 열어 당의 진로를 최종 결정키로 했지만 지금부터는 하루하루가 살얼음판이다.
우리당이 임시 전대 카드를 꺼낸 것은 비노(非盧)진영과 친노(親盧)진영 간 일종의 타협책이다. 비노진영의 주장처럼 당 해체에 돌입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친노진영의 속내대로 중앙위를 부활시킬 수도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양측 모두 ‘대통합’이란 명분을 거부할 수 없는 만큼 당분간 휴지기를 갖고 입장을 조율해내겠다는 지도부의 의중이 담겨 있다. 그간 ‘분열 없는’ 대통합을 표방해온 우리당 지도부는 임시 전대에서 제3지대 신당과의 신설합당 결의를 하는 방안에 무게를 두고 있다.
그러나 비노진영에선 신설합당 방식이 ‘도로 열린우리당’으로 비치면서 외부세력과의 전면적 결합에 장애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이에 따라 문희상 전 의장 등 수도권 의원 10여명, 정대철 고문 그룹 7명, 미래포럼 소속 소장파 의원 3명 등이 15일 탈당키로 했다.
내주 초에는 김근태ㆍ정동영 전 의장계와 소장파 및 충청권 의원 20여명도 탈당 대열에 동참할 예정이다. 우리당 외부가 대통합의 주도권을 쥘 수 있도록 만들겠다는 취지다.
반면 친노진영은 내심 대통합신당 합류를 희망하면서도 노무현 대통령과 참여정부의 성과 계승이 명시되지 않을 경우 ‘당 사수’도 불사한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 친노 대선주자들끼리 오픈프라이머리를 개최하는 방안도 선택지에 올려놓았다.
특히 이해찬 전 총리측은 친노진영의 발언권을 인정받을 수 있는 신설합당 방식이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정세균 의장 등 통합파 지도부가 내달 중순 이후 우리당을 탈당하는 상황이 전개될 수도 있다. 물론 비례대표 의원 23명이 대통합신당에 합류할 수 있도록 이들을 출당시키거나 제명하는 조치도 함께 취해질 가능성이 높다.
양정대 기자 torc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