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차기 대선주자들은 북한문제에 대해 어떤 시각을 갖고 있을까.
미 외교협회(CFR)가 12일 민주ㆍ공화 양당 주요 대선주자들의 발언 등을 토대로 정리한 것에 따르면 민주당은 양자대화 등 전통적인 '개입정책'에 무게를 두는 반면, 공화당의 일부 대선주자들은 조지 W 부시 행정부의 입장 보다 다 강경한 대북 압박정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민주당
▦힐러리 클린턴 상원의원(뉴욕주)=6자회담의 효과에 대해 회의적인 평가를 내리면서 대북 직접대화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지난해 1월 "대북 직접대화 실패가 북한의 플루토늄 재처리를 불러왔다"고 비판했으며, 지난해 6월 공동명의로 부시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에서도 "6자회담이 북한핵 통제라는 목표를 실현하는데 효과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지난해 북한의 핵실험 이후 열린 CFR 모임에서는 "유엔의 대북제재가 내가 원했던 것만큼 강력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배럭 오바마 상원의원(일리노이주)='포린 어페어스'에 실린 기고문을 통해 6자회담을 '임시방편'으로 평가하면서 북한 핵문제를 다루기 위한 '국제연대'를 만들어야 하며 '지속적이고 직접적이면서 공세적인 외교활동'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군사적인 옵션을 배제하지는 않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지난해 북한 핵실험 후 출연한 방송 프로그램에서는 "부시 행정부가 양자대화를 거부함으로써 북한에 대한 아무런 지렛대도 확보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존 에드워즈 전 상원의원=2004년 대선후보로 나섰을 때 '단호하고 직접적으로' 북한 문제를 다뤄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북한 핵실험 후인 지난해 10월 아시아소사이어티 연설에서도 북미 양자협상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식량과 에너지를 포함한 대북지원과 인센티브를 통해 북한이 완전한 군축에 이르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주장에 동조하고 있다.
● 공화당
▦존 매케인 상원의원(애리조나주)=북한 핵실험 후 빌 클린턴 행정부의 '제네바 핵합의'에 대해 "식량지원자금이 북한의 무기개발자금으로 흘러 들어가도록 허용한 실패작"이라고 비판했다.
2월 시애틀 연설에서는 북한을 '아시아 최대의 안보위협'으로 규정한 뒤, 2ㆍ13합의가 담고 있는 비핵화 요구를 북한이 이행하지 않을 것이란 우려를 표시했다. 중국이 대북압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루돌프 줄리아니 전 뉴욕시장=대북압박을 위한 중국의 역할을 강조하는 부시 행정부의 대북정책을 지지하고 있다. 4월 뉴햄프셔에서 "부시 행정부의 전략이 지금까지 충분한 성과를 나타냈기 때문에 이를 고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톰 탄크레도 하원의원(콜로라도주)=2ㆍ13합의에 반대하며 더욱 강력한 대북접근을 지지한다. 중국에 대해 북한이 핵개발을 포기하지 않으면 한국과 대만, 일본에 전역미사일방어(TMD)체계를 배치할 것임을 분명히 알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뉴욕=장인철 특파원 icja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