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호의 테마는 ‘여러 가지 평균의 개념’ 으로 우리의 생활 속에서 사용되는 각종 평균의 정의를 알아본다. 또 어느 상황에서 어떠한 평균을 사용하는 것이 옳은지도 살펴본다. 지문에서 주어진 정의를 정확히 파악하고 주어진 문제에 합리적이고 명확하게 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제시문>제시문>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평균은 사회현상 또는 과학적 사실에서 얻어지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 현상 또는 사실의 대표적인 성향을 나타낼 때 자주 사용되는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평균으로서 산술평균, 기하평균, 조화평균을 들 수 있다.
유한개의 수 , , , 에 대한 산술평균 는 덧셈의 효과를 고려하여
으로 주어지며 우리가 흔히 평균의 개념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기하평균 는 곱셈의 효과를 고려하여 얻어지는 평균의 개념으로서
으로 정의되며, 수 , , , 이 양수일 때 사용된다.
조화평균 는 역수들의 덧셈효과를 고려하여
의 공식으로 정의된다. 실생활에서 자연스럽게 대두되는 이들 세 평균은 모든 수가 같은 경우를 제외하면 의 대소 관계가 성립함이 수학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어떤 평균을 적용해야 하는지는 데이터의 성격이나 고려하고자 하는 효과에 따라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어떤 도시는 두 지점 A와 F를 잇는 도로를 도로의 상태와 주변 시가지에 미치는 소음효과 등을 고려하여, 그림과 같이 간격이 동일한 다섯 개의 구간으로 균등 분할하고, 각 구간의 자동차 최고속도를 각각 시속 60km/h, 40km/h, 30km/h, 80km/h, 90km/h로 제한하였다고 한다.
두 지점 A와 F를 잇는 이 도로의 평균 제한최고속도는 얼마라고 해야 하는지 지문에서 제시한 평균을 적절히 적용하여 설명하시오.
<문제해설>문제해설>
속도는 정해진 거리를 주어진 시간으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즉 속도=이므로, A와 F를 잇는 도로의 평균제한최고속도는 A에서 F까지 자동차를 이 속도로 운행할 때 소요되는 시간이, 각 구간의 제한최고속도로 운행할 때 소요되는 시간과 같아지는 속도를 의미한다. 다른 의미에서, 평균제한최고속도는 자동차를 A에서 F까지 각 구간의 제한최고속도로 운행한다고 할 때, A에서 F까지의 거리를 총소요시간으로 나눈 것이다. 각 구간의 길이를 이라 하면, 각 구간에서 소요된 시간은 각각 이므로, A에서 F까지 소요 된 시간은 이다.
따라서 평균제한최고속도는 , 약 50.7km/h이다.
위의 과정에서 의 관계를 알 수 있고, 따라서 평균제한최고속도는 각 구간 제한속도의 조화평균임을 알 수 있다.
[참고] 산술평균 60km/h는 맞지 않는다. 왜냐하면 평균 60km/h로 자동차를 A에서 F까지 운행할 경우, 소요시간은 으로서 보다 작기 때문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기하평균도 맞지 않는다.
김상국 이슈&논술 수리 논구술 대표 황용훈 이슈&논술 수리 논구술 선임연구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