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과 통합신당이 합당을 선언, 중도통합민주당이라는 이름의 새 정당이 생겨나게 됐다. 집권 정당이었던 열린우리당이 분열과 해체의 위기에 몰린 가운데 범 여권의 한 정파로 독자 세력 행세를 하겠다는 것이다.
정당으로는 분명히 새 정당이지만 사실 이념이나 정치적 지향, 정강정책에서 새로울 것이 없는 진부한 이합집산의 산물이라고 해야 한다. 민주당으로부터 분당해 나갔던 열린우리당 사람들 일부가 탈당, 다시 민주당으로 돌아가는 철새 행각에 지나지 않는다는 게 정치권 안팎의 공통된 시각이다.
선거가 다가오면 자주 등장하는 급조 신당을 이번에도 어김없이 봐야 하는 우리 정치 수준, 정치인들의 부도덕성이 새삼 개탄스럽다. 대선이 다가오고, 대통령의 지지는 바닥이고, 열린우리당은 아직 변변한 대선 주자 한 사람 내세우지 못한 채 정치 생명이 오락가락하는 상황을 벗어나려는 구차한 몸부림들이 안쓰럽다.
물리적으로만 말하자면 국회의원 33명이 가담하는 신당이 만만한 정치세력은 아니다. 그러나 철저한 타산과 이해관계를 맞추는 데 급급했던 그 동안의 과정을 살펴보면 '통합'이라는 용어보다는 야합이라는 비판이 더 잘 들어맞는다.
이들은 대선에서 반 한나라당 전선을 만들기 위한 범 여권의 대통합을 지향한다고 한다. 그러나 여야 정치권에서는 "긴급 피난을 위한 일시적 동거", "호남 세력의 결집을 위한 '도로 민주당'일 뿐"이라는 비난이 일제히 쏟아진다.
합당 과정에서는 노무현 정권 인사 배제 여부가 쟁점이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고작 반노(反盧)를 내세움으로써 집권에 참여한 전력의 책임이 면제될 수는 없는 것이며, 호남 지역에 의지한 소수 정파가 의원수를 늘려 몸집을 불린다고 중도세력의 정체성을 갖게 될 수도 없다.
신당을 계기로 범 여권 각 세력들이 통합 주도권을 놓고 경쟁을 벌인다는 분석도 있지만 관심 밖이다. 당장의 대선에 대한 영향은 둘째 치고 내년 총선에서 살아 남기 위한 제 각각의 잔꾀들이 무리를 이루었다는 냉정한 평가가 더 그럴 듯하게 들린다.
그리고 그 큰 울타리가 지역주의라는 점, 김대중 전 대통령의 노골적인 개입이 상당 수준 작용했다는 흔적 등이 이들의 한계를 말해 준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