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각 부처 브리핑룸과 송고실을 폐쇄하고, 세종로 중앙청사와 과천청사, 대전청사 등 3곳에 브리핑 룸을 집중시키기로 했다고 한다. 구체적 계획과 일정은 아직 정하지 못했지만 일단 22일 국무회의에 기본 방침을 보고할 예정이다.
임기가 다 돼가는 정부가 왜 이렇게까지 언론의 취재 자유를 제약하려고 기를 쓰는지 한심하다 못해 안쓰럽다. 노무현 대통령의 울컥하는 한 마디에서 모든 게 시작됐다는 점에서 주무 부처인 국정홍보처의 시대착오적 '무한 충성' 체질도 거듭 확인하게 된다.
노 대통령의 유명한 '기자실에 죽치고 앉아' 발언은 1월17일 국무회의에서 나왔다. 정권 출범 때부터 이른바 '언론개혁'의 표적으로 삼았던 보수매체뿐만 아니라 한동안 코드가 잘 맞던 방송과 진보매체까지 뒤늦게 비판의 날을 세운 데 대한 불만의 표출이었다.
정상적 사고가 가능한 정권이었다면 지지자들까지 등을 돌리게 만든 스스로의 정책과 행태를 반성하느라 밤을 새웠을 터이지만, 그 모든 것을 언론의 책임으로 돌리고자 했다. 그런데도 이런 악의적 본말전도를 그대로 받든 국정홍보처는 3월 해외사례를 수집해 발표하며 기자실 운영 개선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당시 우리는 불필요한 언론과의 드잡이질로 국민을 피곤하게 하고, 정치ㆍ행정력을 낭비하지 말라고 촉구했다. 이번에도 다시 같은 촉구를 거듭한다. 더 이상 신경질적 언론정책에 매달려서는 안 된다. 진정한 언론개혁을 생각하고 있다면 더더욱 정부가 나서서는 될 일이 아니다.
정부는 출범 직후인 2003년 6월 '개방형 브리핑제'를 도입, 기자실을 브리핑품과 송고실로 바꾸는 한편 기자들이 부처 국ㆍ실이나 과에 드나들면서 관계자들을 직접 취재하는 것을 막았다. 정보 유통을 폐쇄하다시피 한 상태에서 던져주는 정보만 그대로 받아 적을 기자가 어디 있겠는가.
주어진 정보를 일단 의심해야만 하는 상황이라면 정권의 입맛에 맞는 기사는 줄어들게 마련이다. 그런데도 정보 수도꼭지를 점점 더 틀어막겠다니 정권 막바지의 꿍꿍이속이 의심스럽지 않을 수 없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