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3040 재산 불리기] 펀드 선택 5계명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3040 재산 불리기] 펀드 선택 5계명

입력
2007.05.10 23:32
0 0

종합주가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투자자들의 펀드에 대한 관심도 최고조에 달했다. 우리나라에서 운용중인 펀드 수는 어느새 8,753개로 늘어나 미국을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많은 펀드를 보유하게 됐다.

이 많은 펀드 중 어떤 펀드를 골라야 할까. 판매사 직원이 권하는 펀드를 그냥 가입하지는 않는지, 고수익 펀드라고 묻지마 투자를 하지는 않는지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투자성향과 자금 성격에 맞는 펀드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우선 고려해야 할 요소지만, 기술적인 측면에서 좋은 펀드 선정기준도 알아보자.

첫째, 펀드 보수는 낮을수록 좋다. 펀드에서의 비용은 크게 수수료와 보수로 구분한다. 수수료는 환매수수료와 선취수수료처럼 일회성으로 한번 지불하면 끝이지만, 보수는 매일 펀드의 평가금액에서 일정비율을 증권사가 가져간다. 결국 장기 투자일수록 보수가 무시 못할 액수로 커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둘째, 운용원칙을 지키는가 살펴봐야 한다. 배당주, 가치주, 공모주, 성장형 등 펀드마다 따라다니는 수식어가 있다. 또한 펀드가 설정될 당시 어떠한 형태로 운용할 것인지, 운용은 대표매니저가 할 것인지 팀 단위로 할 것인지 등에 관한 계획서가 있는데 이 원칙에 따라 운용되고 있는지도 따져봐야 한다.

셋째, 위험분석을 해야 한다. 주식시장이나 채권시장의 가격은 매일 변하기 때문에 펀드 또한 가격이 매일 달라진다. 이러한 시장의 변동에 따라 ‘나의 관심 펀드는 어떻게 움직이는가’를 측정해주는 지표를 잘 살펴봐야 한다.

펀드평가 사이트에 나오는 펀드 성적표를 보면 알파(α), 베타(β) 지표가 나온다. α는 펀드매니저의 종목선정 능력을 나타내는데 수치가 높을수록 우수한 펀드라고 할 수 있다.

β는 펀드의 시장 대비 변동성을 나타내며 ‘β=1’이면 주식시장의 변동성과 펀드 수익률이 같이 움직이고, ‘β>1’은 주가지수가 등락률보다 펀드수익률의 등락률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운용실적이 좋고 오래된 펀드가 좋다. 과거의 운용실적만 믿어서는 안 되겠지만, 오랫동안 수익률이 시장평균 대비 꾸준하게 상승곡선을 그리며 펀드 설정금액이 증가하고 있는 펀드가 좋다.

다섯째, 여러 회사에서 판매되는 펀드가 좋다. 펀드를 운용하는 회사는 자산운용사이며, 펀드를 판매하는 곳은 은행 및 증권사이다. 여러 판매회사에서 동시에 판매한다는 펀드를 고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많은 판매사에서 가입할 수 있다는 것은 그만큼 판매사에서 잘 팔릴 것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좋은 펀드 중에는 계열사를 통해서만 판매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딸기아빠 김종석 우리투자증권 차장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