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10여년간 전체 경제규모는 꾸준히 커졌지만 기업들만 부자가 되고, 개인들은 점점 여윳돈이 줄어드는 격차 확대 현상이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국민총저축률은 지난해 31.6%를 기록, 2005년(32.9%)보다 1.5%포인트 떨어졌다. 국민총저축률은 기업과 가계, 정부 등 경제주체의 처분 가능한 소득 가운데 소비하고 남긴 부분의 비율을 의미한다.
국민총저축률은 1995년 36.3%에서 2000년 33.7% 등으로 소폭 하락세지만 외국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저축률 높기로 유명한 대만의 국민총저축률은 지난해 26.9%로 한국보다 낮았고, 2005년 일본 26.0%, 독일 21.4%, 미국 13.0%, 영국 14.0% 등 선진국일수록 더 낮다.
그러나 개인 소득 가운데 소비후 남은 부분의 비율을 의미하는 개인순저축률은 선진국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급락, 독일 대만 등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우리나라의 개인순저축률은 지난해 3.5%로, 전년의 4.2%에 비해 0.7%포인트 떨어졌다. 1995년의 경우 개인순저축률은 16.4%였으나 외환위기를 거치며 2000년에는 9.9%로 한자리수대로 떨어졌다. 신용카드를 남발했던 2002년에는 2.0%까지 하락했다. 2004년 5.5%로 잠시 회복했으나 2005년 4.2%, 2006년 3.5% 등으로 2년 연속 하락했다.
반면 대만은 95년 16.3%였던 개인순저축률이 매년 하락하긴 했지만 2005년 12.2%를 유지하는 등 감소폭이 완만했고, 독일 역시 95년 11.1%에서 2005년 10.7%로 큰 변화가 없었다.
국민총저축률이 외국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임에도 개인저축률이 급락한 것은 수출 호조 등으로 벌어들인 국민총소득의 상당 부분이 기업이윤으로 흘러갔음에도 불구, 고용창출이나 임금인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가계소득이 늘지 않으면서 가계의 저축 여력이 크게 떨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은 관계자는 "대기업 직원, 중소기업 직원, 자영업자의 소득 격차가 점점 더 벌어지는 현상 등을 감안하면, 국민총저축률과 개인순저축률의 격차 확대는 계층 양극화 심화 등 우리 경제의 분배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설명했다.
정영오기자 young5@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