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한국일보가 입수한 두 문건을 놓고 학계 전문가들은 신중한 반응을 보이면서도 한국전쟁 연구 진전에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먼저 미국 국방부 비밀해제 문서를 놓고 박태균 서울대 교수는 “문건 내용이 사실이라면 북한은 명백히 전쟁포로 처우에 관한 국제법을 어긴 셈”이라며 “러시아, 중국도 불러들여 국군포로 송환 문제를 원점부터 재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박 교수는 보고서 속 주요 증인인 강상호씨가 1950년대 후반 북한에서 숙청 당한 연안파 장교인 만큼, 북한에 악의적 감정을 품고 증언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사(戰史) 전문가인 조성훈 박사는 “93년 당시 문건의 존재가 알려진 적은 있었지만 그 내용이 자세히 밝혀진 것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조씨는 “현재 러시아는 국군포로 압송 및 강제수용을 공식적으로는 부인하는 상황”이라며 “작년에 방한한 러시아 군 관계자도 보고서 내용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밝혔었다”고 설명했다.
박명림 연세대 교수 역시 “보고서에 강상호 씨 등의 증언이 인용됐다 해도 그것이 곧 미국과 러시아 정부의 공식 입장이라고 속단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허만호 경북대 교수는 “한국전쟁 종전 당시 소련은 물론이고 중국, 체코슬로바키아 등지에 국군포로 5만 명이 억류돼 있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는 만큼 북한 이외 지역에 흩어진 국군포로 찾기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미 중앙정보부(CIA) 보고서에 대해선 한층 더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건국훈장이 추서될 만큼 중요 인사인 박 모씨가 친북 활동을 했다는 것은 놀랍지만, 정부 공식 문서가 아닌 첩보 보고서 내용인 만큼 정보의 질을 따져보는 게 우선이라는 것이다.
박태균 교수는 “정보기관은 신뢰성, 정보원 등을 따져 얼마나 고급 정보인지를 등급 매긴다”며 “이번 보고서의 몇몇 부분은 기존에 밝혀진 정보들과 어긋나는 점이 있어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훈성 기자 hs0213@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