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모스(the cosmos)> 에서 우주와 인간은 하나다. 우주의 변방 평범한 은하, 그 외곽의 보잘 것 없는 별(태양)의 세번째 행성 위에서, 온갖 정치적 관계를 맺고 복닥거리며 사는 인간을 ‘별의 자녀’로 보는 게 그러한 예다. 관심이 우주에서 언제나 인간으로 향하는 저자 칼 세이건 덕분에 이 책은 과학교양서가 아니라 인간의 본질과 미래를 말하는 인문학 교양서가 된다. 코스모스(the>
인류는 명백히 우주의 산물이다. 먼저 인간과 생명체를 이루는 원소들이 모두 별의 폭발에서 만들어졌다. 초기 우주는 수소와 헬륨뿐이었지만 별이 핵융합을 하다 신성(또는 초신성) 폭발로 생을 마무리하는 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탄소 산소 질소 마그네슘 황 등 무거운 원소가 생긴다. 세이건은 “DNA를 이루는 질소, 치아를 구성하는 칼슘, 혈액의 주요 성분인 철 등 원자 하나하나가 모두 별에서 합성됐다. 그러므로 우리는 별의 자녀”라고 말한다.
태양도 주변 초신성 폭발 후 탄생했을 것이며 태양으로부터 자외선이 닿아 지구 최초의 유기물이 생겨났을 것이다. 공룡이 사라진 덕분에 포유류가 번성하고 인간이 만물의 영장으로 진화하게 된 것도 천문우주적 환경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사실 우주를 들여다볼수록 인간의 존재는 경이다. 거꾸로, 인간의 눈으로 우주를 바라보기에 경이롭게 보이는 측면도 없지 않다. 예컨대 인간은 기적적으로 낙원 같은 지구를 만난 것이 아니라 지구 환경에 적응한 결과물이다. 지구에 산소가 풍부해진 것은 인간에게는 행운이지만 산소 없이 살던 미생물들에게 재앙이었다.
화성인 논란은 또 어떤가. 로웰 천문대를 세운 퍼시벌 로웰은 화성 표면을 가로지르는 선들이 거대한 운하라고 생각했고, 행성 규모의 토목공사를 벌이는 고등한 지적존재가 존재한다고 믿었다. 물론 순전히 그의 바람이었다.
하지만 우주를 탐사하고 관측하는 것 자체가 인간의 본질적인 특성이다.
화성에 이끼 같은 생물을 살게 하고, 덕분에 지표가 어두워져 더 많은 태양빛을 흡수하고, 얼음이 녹고, 얼어붙었던 대기가 풀려나 언젠가 인류가 화성에 거주하게 되리라는 상상은, 사람의 지적 능력이 아니라 꿈꾸는 능력에서 나온다. 화성인이 침공하는 공상과학과, 화성인이 산다는 로웰의 생각이 없었다면 과연 화성탐사선 프로젝트가 현실이 됐을까.
언젠가 화성의 극관(極冠ㆍ화성의 극에서 얼음으로 덮여 하얗게 빛나 보이는 부분)에서 녹아내린 물을 적도 지대에서 받아쓰도록 거대한 운하를 건설할 날이 올 지 모른다. 그 날이 오면 우리가 바로 ‘로웰의 화성인’이라고 세이건은 말하고 있다.
김희원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