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최신호(17일자)에서 시대변화에 따라 역사도 변하고 있다며 각국의 역사교육 사례를 소개했다. 이 주간지는 많은 나라들이 역사교육을 국가를 이끌어가는 필수 전략으로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부분 국가에서 과거교육이 국가 정체성 유지와 맞물려 있다는 것이다.
과거 민족주의가 유행하던 아일랜드에선 열린 역사관이 각광 받고 있다. 금기시되던 2차 대전 당시 영국과의 협력, 1920년대 아일랜드 내전 등이 자유롭게 토론된다. 애국주의를 강조한 가톨릭의 영향력 쇠퇴, 민족주의가 분쟁만 야기했다는 평가, 그리고 1인 당 국민소득에서 영국을 앞지른 국력신장 등이 자유주의 사관을 가져온 요인이다. 백인통치가 종식된 남아프리카공화국도 역사교육에서 화해를 강조하고 있고, 멕시코는 90년대 반미주의 색채를 완화한 교과서를 도입했다.
호주와 러시아 터키 등은 애국주의와 보수주의 역사관을 강화하는 나라로 분류됐다. 호주는 10년 넘게 보수세력이 집권하면서 다시 백인 중심주의와 애국주의로 돌아가고 있다. 80년대 도입된 원주민과의 공존을 강조하는 다문화주의는 빛을 잃고 있다.
오일머니로 재무장한 러시아는 특히 국민단합을 고취시키며 국가주의 성향을 노골화하고 있다. 1612년 모스크바에서 폴란드인 등 외세를 몰아낸 11월 4일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되기도 했다. 터키에선 초등학생이 “나는 터키 국민이며, 정직하고 열심히 공부한다”는 구호를 외친 뒤 공부를 하고, 중학교에선 군인들에 의한 안보교육이 이뤄진다. 이코노미스트는 그러나 주변국과의 과거사 논란이 뜨거운 일본의 역사교육문제는 언급하지 않았다.
권대익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