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에만 100여 곳 육박
*천금같은 수익에 ‘피로 싹~’
*“정착지원금 확대” 목소리도
경기 용인시 처인구 유림동사무소 내 용인YMCA자활후견기관 사무실 한 귀퉁이에는 산모도우미 파견업체인 ‘아가마지 공동체’ 전용 전화 한 대가 놓여 있다. 지난 2일 자활후견기관을 통해 간병사나 산모도우미 자격증을 취득한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 계층 11명이 모여 창업한 회사다.
‘아가마지’는 ‘아가맞이’를 소리 나는 대로 쓴 것이다. 자본금이 2,370여만원에 불과해 사무실을 내지는 못하고 달랑 전화 한 대 설치했을 뿐이지만 이 회사는 창업 한달 만에 일손이 모자랄 정도로 호황을 맞고 있다. 직원은 20명으로 늘었고 적립금 추가분을 빼놓고도 1인당 90여만원의 배당을 기대하고 있다. 이 회사는 13일 미뤘던 개업식도 가질 참이다.
직원 최명자(42)씨는 “남편이 병사한 뒤 생활고에 시달리다 자활후견기관을 알게 돼 인연을 맺었다”면서 “일단 터널은 빠져 나왔으니 더 열심히 일해 경제적으로 조속히 안정을 찾고 싶다”고 말했다.
‘아가마지 공동체’ 같은 자활공동체가 뿌리를 내리고 있다. 자활공동체는 1999년 기초생활보장법이 제정되면서 2000년부터 태동하기 시작해 현재 전국적으로 242개의 자활후견기관과 600여개소의 자활공동체가 운영 중이다.
각 시군에 설치된 자활후견기관에서 2,3개월 동안 서비스, 생산 등의 교육을 받은 교육생들은 장기저리 융자 등을 통해 독립, 하나의 기업으로서 활동하게 된다.
경기도의 경우 2004년 47개의 자활공동체가 태동해 2005년 67개, 2006년 82개의 공동체가 설립됐고 올해 이 규모가 104개까지 늘어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지점 설치까지 가능할 정도의 광역자활공동체도 해마다 1,2개씩 신규 설립되는 추세다.
이에 따라 참여인원도 2004년 431명에서 2005년 789명, 2006년 1,019명에 이어 올해 1,394명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지난해 초까지만 해도 후견기관이나 공동체가 모두 시행착오를 겪었지만 최근 100만원 이상의 배당금을 낼 정도로 시장 수준의 이익을 내는 공동체들이 부쩍 늘어나고 있다”면서 “이들이 좀더 일찍 자리잡을 수 있도록 정착지원금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고 밝혔다.
하지만 아쉬워하는 목소리도 있다. 청소 등 단순 노무직에서 최근 이ㆍ미용, 집수리, 식료품제조, 가사ㆍ간병도우미, 세차, 농산물유통, 컴퓨터수리 등 업종이 다양화 됐지만 모두 경쟁이 치열한 분야여서 조기정착에 애를 먹고 있다. 실제로 많은 공동체 참여자들이 “노동의 강도는 더 세져도 관계없지만 보수는 가정을 유지할 수 있는 수준은 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매년 1,000여만원의 기부금을 내는 시흥시 ‘아름다운 집’ 대표 임현주(42)씨는 “공동체 직원들의 의욕은 충만하지만 문제는 역시 급여”라면서 “미래를 위해 급여보다는 자본금 확충에 비중을 둬야 하는 상황에서 정부나 자치단체의 정착지원금 확대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한국자활후견협회의 한 관계자는 “극빈층을 일정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지원이 불가피하다”면서 “자치단체들이 청소 식료품 등 서비스와 제조분야에서 이들의 노동력이나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방안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범구 기자 goguma@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