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ㆍ13 6자 회담 공동성명은 6자간에 장장 14시간 험난한 협상을 벌이는 진통 끝에 발표됐다. 12일 오전 10시 30분부터 13일 오전 2시 30분까지 이어진 마라톤 협상에 대해 중국 신화통신은 6자 회담 사상 처음으로 날짜를 변경하면서까지 진행된 최장의 협상이라고 전했다.
협상은 난상토론의 장이었다. 북미 쟁점인 핵 폐기 조치만을 논의하는 것이 아니고 경제적 보상조치도 동시에 타결해야 하기 때문에 북미간 대립 뿐아니라 경제 보상의 주체가 될 한ㆍ미ㆍ일ㆍ중ㆍ러 5개국간 갈등도 극심했다. 북한을 고리로 하는 양자접촉과 북한을 제외한 5자 사이에 양자 및 3자접촉이 베이징(北京) 댜오위타이(釣魚臺)에서 연쇄적으로 이어졌다. 천영우 한반도 평화교섭 본부장 역시 “접촉이 하도 많아 일일이 기억하지 못하겠다”고 말할 정도였다.
최대 쟁점은 북한의 핵 폐기 이행조치와 보상 수준간 균형점, 5개국의 부담 방식 등 두 가지였다. 두 현안은 관련국간 격론이 최고조에 달한 12일 밤 12시를 전후로 그 가닥이 잡히기 시작했다는 후문이다. 중유 200만톤 지원을 요구한 북한은 숫자를 낮추기 시작해 한미가 제의한 50만톤 +알파를 지원할 수 있다는 입장에서 절충이 이뤄지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한국측은 3가지 정도의 대안을 제시해 사실상 지원량을 조정했다고 한다.
북한을 제외한 5자간 부담원칙은 북미 협상만큼이나 조율이 어려운 난제였다. 균등 분담 원칙을 고수한 한국과 참가 보류 입장을 밝힌 일본과 러시아간 대립이 극심했다. 일ㆍ러는 각각 납치자 문제와 대북 채권 문제 등을 거론하며 난색을 표시하며 한국에 맞섰다.
이 와중에 한국이 대북 에너지 지원에 관한 문서(공동성명의 부속 문서형식)의 초안자를 맡게 된 것이 결정적 변수였다. 일ㆍ러는 여러 차례 물타기 시도를 했지만 천 본부장은 초안 작성자의 이점을 십분 활용, 원칙을 관철했다. 다만 납치자 문제로 정치적 환경이 어려운 일본의 처지를 감안해 에너지 지원에 관한 문서는 일본을 제외한 한ㆍ미ㆍ중ㆍ러 4개국 제안 형식으로 작성됐고, 일본은 북일 납치자 문제에 진전 상황과 연계해 참여하기로 공감대를 마련했다.
한편 북한이 요구한 전력 200만kw과 관련, 북한은 물론 일부 참가국들마저 한국의 지원을 기대하자 한국측은 “과거 한국의 ‘200만kw 전력 지원’ 제의는 비핵화가 이뤄진 뒤 에너지 지원차원으로 이뤄진 것으로 핵 폐기 초기 단계인 지금 상황과는 전혀 다른 맥락”이라고 선을 그었다.
베이징=이영섭 특파원 young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